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네트워크 관리편 : 북윈도
리뷰 0 위시 120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네트워크 관리편 요약정보 및 구매

네크워크 구축과 관리의 길잡이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길벗
저자 기술평론사 편집부
ISBN 9791160500424 (1160500428)
정가 36,000원
판매가 32,400원(10% 할인)
배송비 무료배송
포인트 정책 설명문 닫기

00포인트

포인트 정책 설명문 출력

선택된 옵션

관심상품

상품 정보

사은품
상품 기본설명
네크워크 구축과 관리의 길잡이
상품 상세설명
네트워크와 서버를 모르면 클라우드를 쓸 수 없다!

네트워크나 서버를 모르면 클라우드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다. LAN 케이블부터 시작해서 라우터, 스위치 허브, DHCP, 무선 LAN 환경 구축 같은 네트워크 기초부터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할 때 필요한 네트워크 확장 기술, 즉 로드 밸런서, 프록시 서버, 클러스터링까지 설명한다. 또한, 네트워크와 서버 관리에 핵심인 유닉스/리눅스 명령어를 설명하고, 백업과 복구 전략을 하드디스크 구조와 함께 설명하고 클라우드 백업까지 소개한다. 마지막에는 인프라 엔지니어의 핵심 무대인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방법까지 담았다.





목차
1장 알쏭달쏭 ‘DHCP 서버 교과서’

1.1 DHCP란 무엇일까요?
1.1.1 DHCP로 보는 네트워크 관리의 변천
1.1.2 IP 네트워크의 구조와 DHCP의 역할
1.1.3 가정에도 있는 DHCP 서버
1.1.4 모바일 라우터와 테더링의 차이
1.1.5 정리

1.2 DHCP 무대의 뒤편
1.2.1 DHCP 프로토콜 완벽 해설
1.2.2 IP 주소 할당의 흐름(전반)
1.2.3 IP 주소 할당의 흐름(후반)
1.2.4 그 밖의 메시지
1.2.5 정리

1.3 DHCP 서버 구축과 운영
1.3.1 KVM 가상 머신으로 실험 환경 구축
1.3.2 DHCP 서버를 구축
1.3.3 DHCP 클라이언트로 동작 확인
1.3.4 DHCP로 고정 IP 주소 설정
1.3.5 정리

1.4 최신 IP 주소 관리 방법
1.4.1 서버 구축 자동화에도 도움이 되는 DHCP
1.4.2 서버 가상화 환경의 DHCP
1.4.3 클라우드 기반 DHCP
1.4.4 스마트폰의 IP 주소와 CGN/LSN의 세계
1.4.5 정리


2장 라우터 교과서

2.1 라우터의 기능과 라우팅 구조
2.1.1 라우터란
2.1.2 L3 스위치와 다른 점
2.1.3 라우팅이란
2.1.4 마지막으로

2.2 라우터에서 이용되는 기술 각론
2.2.1 라우터는 외부 경계
2.2.2 통신에서의 터널 기술
2.2.3 터널 이용 시 주의할 점
2.2.4 WAN 종단 장치로써의 라우터
2.2.5 업무용으로 필수인 우선 제어
2.2.6 트래픽의 시각화
2.2.7 NetFlow를 사용해보자!
2.2.8 시작하면서
2.2.9 LISP가 태어난 배경
2.2.10 LISP의 간접층 - ID(식별정보)와 Locator(위치정보)의 분류
2.2.11 LISP의 구조
2.2.12 LISP 매핑 서비스
2.2.13 LISP에 의한 멀티 호밍
2.2.14 LISP 이용 사례

2.3 활용 범위가 넓어지는 BGP와 Vyatta를 이용한 가상 환경의 라우팅
2.3.1 인터넷을 지탱하는 BGP
2.3.2 인터넷은 AS의 집합
2.3.3 조직간, 조직 내의 라우팅
2.3.4 정책을 반영하여 경로를 최적화
2.3.5 인터넷 이외에서도 사용되는 BGP
2.3.6 IP-VPN 에지로 사용되는 BGP
2.3.7 BGP 정리
2.3.8 대규모 시스템도 클라우드 위에
2.3.9 가상 라우터와 Vyatta
2.3.10 Vyatta를 사용하여 가상 사설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자
2.3.11 정리


3장 스위칭 허브 교과서

3.1 LAN 스위치의 기본
3.1.1 시작하기
3.1.2 LAN 스위치의 개요
3.1.3 학습과 포워딩
3.1.4 VLAN
3.1.5 L3 스위치
3.1.6 정리

3.2 LAN 스위치의 구조
3.2.1 LAN 스위치의 아키텍처
3.2.2 LAN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
3.2.3 고신뢰화

3.3 LAN 스위치의 진화
3.3.1 시작하기
3.3.2 플로우 베이스의 한계 극복
3.3.3 병렬 분산 처리
3.3.4 동적 라우팅과 자율분산제어
3.3.5 지금까지의 레이어2 제어
3.3.6 앞으로의 레이어2 제어


4장 케이블링 교과서(기초)

4.1 LAN 케이블을 둘러싼 환경
4.1.1 Ethernet 이전의 네트워크
4.1.2 Ethernet의 역사
4.1.3 Ethernet 케이블링

4.2 LAN 케이블의 기초와 동작을 학습한다
4.2.1 시작하기
4.2.2 트위스트 페어 이전의 LAN 케이블
4.2.3 규격 명명 규칙
4.2.4 동축 케이블 문제
4.2.5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4.2.6 UTP와 STP(실드)
4.2.7 주파수 특성
4.2.8 802.3 규격과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4.2.9 선을 꼬는 이유

4.3 LAN 케이블 만든다
4.3.1 압착공구
4.3.2 LAN 케이블 탈피기
4.3.3 니퍼
4.3.4 LAN 케이블 테스터
4.3.5 LAN 케이블
4.3.6 RJ-45 플러그
4.3.7 스트레이트와 크로스
4.3.8 AutoMDI/MDI-X 문제
4.3.9 마치면서


5장 실천! 케이블링 교과서(응용)

5.1 네트워크 고속화와 와이어링 기술 설명
5.1.1 15년 전의 네트워크 환경
5.1.2 현재 네트워크 환경
5.1.3 최신 와어어링에 대해
5.1.4 배선형태

5.2 LAN 케이블의 구조와 배선 기술
5.2.1 시작하기
5.2.2 LAN 케이블의 성능과 구조
5.2.3 의외로 모르는 케이블의 구조
5.2.4 매우 중요한 배선 기술
5.2.5 LAN 케이블 배선에서 해선 안 되는 일
5.2.6 배선 시공의 실제
5.2.7 프로에게 듣는 LAN 케이블 제작법
5.2.8 측정 시험

5.3 프로에게 듣는 광케이블의 지식과 접속
5.3.1 시작하기
5.3.2 광섬유의 구조
5.3.3 광케이블의 종류
5.3.4 광케이블 연결 방법
5.3.5 광섬유 연결 순서
5.3.6 광케이블 연결 작업


6장 무선 LAN의 교과서

6.1 (현장에서 찾다!) 무선 LAN 환경 구축의 5가지 포인트
6.1.1 ① AP 위치와 설정이 쾌적함을 좌우한다
6.1.2 ② 클라이언트가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6.1.3 ③ 무선 LAN 사용법을 바르게 이해한다
6.1.4 ④ 도입 후 관리도 생각하자
6.1.5 ⑤ 무선 LAN 환경의 미래를 생각한다

6.2 (알고 있는가?) 무선 LAN 환경 구축의 함정
6.2.1 무선 LAN 환경 이용이 적합한 업무, 적합하지 않은 업무
6.2.2 당신이 모르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 요령
6.2.3 무선 LAN 사용자 관리는 어떻게 하는가?
6.2.4 통신 속도와 안정성, 어느 쪽을 선택하는가?

6.3 (역사로 돌아보다) 무선 LAN 환경 보안과 원활한 운영
6.3.1 무선 LAN의 시작
6.3.2 무선 LAN 환경의 보안
6.3.3 라이브도어의 케이스 스터디
6.3.4 사무실 무선 LAN의 운영
6.3.5 끝으로


7장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위한 프록시 서버 교과서

7.1 역사로 보는 프록시 서버의 역할과 변천
7.1.1 역사로 보는 프록시
7.1.2 포워드와 리버스
7.1.3 프록시 서버의 동작과 이용법
7.1.4 프록시 서버의 변천

7.2 리버스 프록시의 용법과 실례
7.2.1 시작하기
7.2.2 콘텐츠 캐싱
7.2.3 부하분산(로드 밸런싱)
7.2.4 콘텐츠 압축
7.2.5 SSL 가속
7.2.6 싱글사인온
7.2.7 끝으로

7.3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되는 프록시 서버 이용 방법과 이용 사례
7.3.1 시작하기
7.3.2 클라우드형 로드 밸런스 프록시
7.3.3 클라이언트형 콘텐츠 캐시 프록시
7.3.4 클라우드형 보안 프록시
7.3.5 클라우드형 메일 프록시
7.3.6 클라우드형 스토리지 프록시
7.3.7 끝으로


8장 로드 밸런서 교과서

8.1 로드 밸런서에서 ADC로
8.1.1 로드 밸런서의 기능
8.1.2 최신 로드 밸런서의 동향

8.2 소프트웨어 기반 로드 밸런서
8.2.1 시작하기
8.2.2 하드웨어 전용기와 소프트웨어 기반 비교
8.2.3 소프트웨어로 로드 밸런스를 구현하는 방법
8.2.4 소프트웨어 로드 밸런서 구성
8.2.5 Nginx에 의한 로드 밸런스의 실례
8.2.6 LVS에 의한 로드 밸런스의 실례
8.2.7 HA(이중화) 구성
8.2.8 끝으로

8.3 클라우드상의 로드 밸런서 구현과 이용
8.3.1 클라우드에서의 로드 밸런서
8.3.2 클라우드 벤더에 따라 달라지는 제공 방식
8.3.3 사쿠라 클라우드의 로드 밸런서 기능
8.3.4 DSR 방식에 대해서
8.3.5 사쿠라 클라우드에서 로드 밸런서를 사용해보자
8.3.6 사쿠라 클라우드 로드 밸런서 기능의 이면
8.3.7 끝으로


9장 클러스터링 교과서

9.1 클러스터 시스템의 구조
9.1.1 멈추지 않는 서비스를 목표로
9.1.2 다운 타임으로 연결되는 장애
9.1.3 클러스터 시스템의 구성 패턴
9.1.4 클러스터 시스템의 성립
9.1.5 클러스터 시스템의 동작
9.1.6 클러스터 시스템 설계

9.2 데이터 센터에서의 클러스터링의 실제
9.2.1 고가용성을 실현하는 클러스터링
9.2.2 고가용성 실현의 전제가 되는 퍼실리티
9.2.3 데이터 센터에서 동작하는 가상화 기반 클러스터링
9.2.4 클라우드 이용 시의 클러스터링
9.2.5 VRRP를 이용한 가상 서버 클러스터링
9.2.6 끝으로

9.3 데이터베이스의 클러스터 구성과 미러링 방식
9.3.1 데이터베이스의 클러스터 구성에서 공통으로 고려할 점
9.3.2 4개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링 구성
9.3.3 데이터 미러링 방식의 상세
9.3.4 정리


10장 유닉스 명령어 사용법

10.1 유닉스/리눅스에서 필수인 파일시스템의 기초
10.1.1 파일시스템이란
10.1.2 파일시스템의 종류
10.1.3 ext4 파일시스템
10.1.4 파일시스템 만들기
10.1.5 파일시스템 마운트
10.1.6 파일시스템 복구 방법
10.1.7 root 예약 영역
10.1.8 파일시스템 찾는 방법(UUID와 라벨)
10.1.9 마운트 중인 블록 디바이스를 찾는 방법
10.1.10 파일시스템 크기 변경
10.1.11 끝으로

10.2 유사시를 대비한 매니지먼트 서비스 프로바이더 업무를 지탱하는 명령어
10.2.1 어떤 환경과 상황에서도 변함없이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셸은 관리에 필수
10.2.2 CASE 1: 시시각각 줄어드는 남은 디스크 용량
10.2.3 CASE 2: 갑작스러운 다운
10.2.4 CASE 3: 사라진 디스크 이미지
10.2.5 CASE 4: 괜찮은가?
10.2.6 CASE 5: 끝나지 않는 복원
10.2.7 끝으로

10.3 서버 운영과 자동화에 도움되는 핵심 명령어
10.3.1 시작하기
10.3.2 네트워크 관리
10.3.3 파일관리
10.3.4 작업 관리
10.3.5 유저 관리
10.3.6 도구?유틸리티
10.3.7 끝으로

10.4 GUI라서 불편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데스크톱에서도 활약하는 명령어
10.4.1 데스크톱 운영체제에서 명령줄을 사용하는 이유
10.4.2 명령어를 사용해 귀찮은 번거로운 작업을 간단히
10.4.3 CLI 환경을 개선하자


11장 유사시에 대비한 시스템 복구법

11.1 백업의 어제와 오늘, 데이터와 클라우드
11.1.1 예기치 않은 시스템 다운
11.1.2 애초에 백업이란 무엇인가?
11.1.3 유닉스의 백업 명령어
11.1.4 테이프 백업 미디어의 역사
11.1.5 테이프 백업의 함정
11.1.6 HDD 백업은 인터넷 보급 탓
11.1.7 스냅샷의 탄생과 과제
11.1.8 클라우드 백업의 과제란

11.2 유닉스 백업 계열 명령어 복습
11.2.1 데이터 백업의 기본
11.2.2 dump, restore 명령어
11.2.3 dd 명령어
11.2.4 tar 명령어
11.2.5 rsync 명령어
11.2.6 정리

11.3 클라우드의 데이터는 어디로 가나?
11.3.1 시작하면서
11.3.2 E.C.O에서의 백업 운영 검토
11.3.3 Nifty Cloud에서의 백업 운영
11.3.4 유저 데이터 파일 백업(Amanda 이용 예)
11.3.5 MySQL 백업
11.3.6 끝으로

11.4 클라우드 백업의 기본
11.4.1 백업의 실력자! Amazon S3
11.4.2 스냅샷에 의한 백업의 실제(Linux, Windows)
11.4.3 스냅샷의 세대 관리/Cloud Automator
11.4.4 온프레미스에서 AWS로! Storage Gateway에 의한 백업
11.4.5 Storage Gateway의 설정
11.4.6 Storage Gateway로 할 수 있는 것
11.4.7 상세 사양 설명
11.4.8 복원 방법이란
11.4.9 정리

11.5 하드디스크의 가나다
11.5.1 시작하며
11.5.2 HDD를 둘러싼 약점들
11.5.3 HDD에 잠재된 위험
11.5.4 HDD 심화 지식
11.5.5 RAID
11.5.6 HDD를 둘러싼 최신 기술
11.5.7 HDD 테스트는 어렵다
11.5.8 끝으로

11.6 복구 전문가에게 묻다: 데이터 복구의 실제
11.6.1 물리 장애
11.6.2 복구 시 읽기 테크닉
11.6.3 서버를 사용한 복구
11.6.4 화재와 HDD
11.6.5 지진해일과 HDD
11.6.6 SSD의 경우
11.6.7 SD 카드와 USB 메모리
11.6.8 기록 포맷
11.6.9 논리 장애
11.6.10 저장 미디어의 신뢰성
11.6.11 복구 비용
11.6.12 복구율과 좋은 업자란

11.7 안정적 운영을 위한 플래시 스토리지 도입 요령
11.7.1 시작하며
11.7.2 HDD와 플래시 스토리지의 차이
11.7.3 실제 도입 디자인을 향해서
11.7.4 끝으로


12장 데이터 센터 만들기

12.1 만들면서 이해하는 기술적 포인트
12.1.1 데이터 센터의 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을까?
12.1.2 DC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12.1.3 사설 클라우드
12.1.4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DC의 조건이란 무엇인가?
12.1.5 백지부터 DC를 만든다
12.1.6 장소를 찾는다
12.1.7 DC용 회선 선택
12.1.8 전력의 가나다
12.1.9 건물
12.1.10 모듈 구조
12.1.11 운용 방법과 요령
12.1.12 DC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거울

12.2 클라우드에서 저궤도 서버 위성까지 트렌드를 추적한다!
12.2.1 시작하며
12.2.2 서버는 몇 대인가?
12.2.3 데이터 센터의 구성
12.2.4 일본 데이터 센터의 동향
12.2.5 운용 감시 비용 경감
12.2.6 끝으로
책속으로
IT 인프라 엔지니어로 살아남는 10가지 방법
1조: 진실을 추구하지 말고 사실을 추구하라
엔지니어는 개인의 이상, 생각, 소원, 희망 같은 감정적, 철학적 필터를 통해 현상을 판단해선 안 됩니다. 엔지니어의 판단에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 그 밖의 요소를 판단 재료로 삼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흐리게 만들 뿐입니다. 아키텍처, 프로토콜, 시스템 모델, 프레임워크 등 날마다 어디선가 새로운 기술과 개념이 생겨나는 것이 IT 업계의 특징이지만, 그것들이 근본 문제를 해결하는지는 구조, 방식, 구현, 데이터 등 사실을 기초로 하여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순히 색다를 뿐이거나 유명인이 제창해서 업계가 주목하는 데에 지나지 않는다면, 노력해서 기술을 습득해 봐야 전혀 활용할 수 없기에 시간만 낭비하는 결과가 되고 맙니다. 화제성뿐인 기술의 혜택을 받는 것은 평론가나 컨설턴트, 대중매체 등 현장과 동떨어진 전직 엔지니어나 직접 그 기술을 구사하지 않는 사람들입니다. 실제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엔지니어는 그런 기술로부터 얻을 게 아무것도 없습니다.2조: 케이스 스터디는 반드시 직접 검증하라
새로운 기능과 구현을 이해하려고 할 때, 일반적으로 설명서나 케이스 스터디 문서, 기사, 블로그를 참고하겠지만, 그것만으로 기술과 구현 절차를 완전하게 이해하고 파악하기란 불가능합니다. 기술 서적이나 엔지니어의 블로그가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거기에 반드시 저자가 대상 기술에 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한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본인이 판단하기에 굳이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항은 생략하기도 하고, 또한 그렇게 중요하지 않은 설명은 줄였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때마침 발생하지 않은 노이즈나 버그로 일어나는 사항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모든 기술 정보와 문서는 어디까지나 집필자의 경험적인 정보이며, 다른 기술자가 다른 조건과 상황에서 했을 때 똑같이 재현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가령 케이스 스터디에 기재된 환경 조건이 거의 같아도, 자신의 환경과 조건에서 다시금 스스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3조: 엔지니어와 대화하라. 문자만으로 전달되지 않는 지식을 공유할 수 있다
엔지니어는 블로그나 서적, 잡지 기사 등에서 다양한 기술에 관해 쓰거나 세미나, 이벤트, 스터디 모임 등에서 슬라이드를 이용해 발표도 합니다. 물론, 그런 글을 읽거나 강연만 들어도 유익한 정보와 식견을 얻을 수 있겠지요. 하지만 글이나 강연만으로 엔지니어 머릿속에 있는 다양한 경험과 지식, 식견을 모두 표현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책이나 세미나 강연 등에서는 품격, 위엄, 지성 등이 요구되기에, 비교적 의례적인 표현을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엔지니어가 원래 강조하고 싶었거나 비판적으로 보는 사항, 불확실하거나 의문을 가진 부분 등을 강하게 표현하는 데에 주저하게 됩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런 사실을 각 엔지니어의 경험과 식견으로 어떻게 해석하는가입니다. 각 엔지니어가 제공하는 정보는 기술을 해석하는 본인의 경험과 식견이 어우러져 더욱 본질에 가까울 수 있습니다. 엔지니어의 경험과 식견을 포함한 정보는 일방적인 기사, 서적, 강연 등에서 얻기 힘들고, 직접 당사자와 이야기해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좀 더 본질에 가까운 정보를 얻기 위해선 다양한 엔지니어가 모여서 기탄없이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를 가능한 한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4조: 자신의 지식을 나누라. 주지 않고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없다
정보란 서로 소통해야 비로소 가치가 있고 의미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온라인의 블로그 기사, 서적, 잡지 등에서 일방적으로 기술 정보를 얻겠지만, 더욱 유익한 정보를 얻으려면 먼저 자신이 가진 기술 정보를 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정보를 나누면 주위의 엔지니어는 그 사람이 어떤 경험을 했고, 어느 분야에 조예가 깊은지, 어떤 견해와 해석 방법이 있는지 인식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그 사람에게 더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려고 하며, 직접 대화하거나 발표 및 집필할 때 자연히 그 부분을 언급하게 됩니다. 그러면 자신이 깨닫지 못했거나 생각지 못한 사실을 알 기회가 많아져서 자신의 기술적 지식이 더욱 깊고, 정확하고 현실적이 됩니다. 정보를 얻기만 하고 제공하지 않는 엔지니어에게는 뻔한 정보만 모여듭니다.
출판사 서평
네트워크 구축과 관리의 길잡이LAN 케이블, 광케이블부터 라우터, DHCP,
LAN 스위치, 무선 LAN, 프록시, 로드 밸런서,
클러스터링, 백업과 복구, 데이터센터까지
인프라 엔지니어의 기초를 다진다.책속으로 추가5조: 무지는 죄다
엔지니어가 모든 기술을 아는 것은 어려울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비록 전문 분야가 아닌 기술이라도 가능한 한 알아둘 필요는 있습니다. IT 기술의 각 요소는 홀로 존재해서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 밖의 다른 어떤 분야에 작용함으로써 비로소 의미가 있는 기술 분야입니다.
IT 인프라 엔지니어에게 전문 분야가 아니라는 말은 없다고 생각하는 편이 좋겠지요. ‘그건 내 전문이 아니야’라는 말은 ‘잘 모르겠으니 그대로 두자’는 변명밖엔 안 됩니다. 전문 분야가 아니라도 명확하지 않거나 궁금한 게 있을 때는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알아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지는 죄’라고 했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무지한 채로 있는 게 죄입니다.6조: 시간은 만드는 것이다
상사나 동료가 업무 외에 뭔가 부탁하거나 물어봤을 때 ‘도무지 짬이 안나요’ ‘지금은 시간이 없어요’라며 거절하는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이런 태도는 기술자로서 두려운 습관입니다. 여유나 시간은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만드는 것입니다. 만약 여유나 시간을 만들 수 없다면 엔지니어로서 지금 이상으로 기술을 닦아 성장할 수 없습니다. 지금, 회사나 조직에서 주어진 업무는 기본적으로 현재 자신이 할 수 있거나 혹은 할 수 있을 거로 보이는 작업에 한정됩니다. 엔지니어로서 기술을 향상하려면 업무 외에도 스스로 학습하거나 확인하거나, 시험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시간을 만들 능력이 없다면 그 새로운 기술에 접해볼 수 없습니다.
‘시간이 없다’는 말이 ‘하고 싶지 않다’는 의미라면 구제할 수 있지만, 만약 정말로 ‘시간이 없다’면
엔지니어로 살아가는 것은 무리이므로 직종을 바꿔보세요.
… 생략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네트워크 관리편
저자 기술평론사 편집부
출판사 길벗
ISBN 9791160500424 (1160500428)
쪽수 556
출간일 2016-11-30
사이즈 184 * 236 * 25 mm /1005g
목차 또는 책소개 1장 알쏭달쏭 ‘DHCP 서버 교과서’

1.1 DHCP란 무엇일까요?
1.1.1 DHCP로 보는 네트워크 관리의 변천
1.1.2 IP 네트워크의 구조와 DHCP의 역할
1.1.3 가정에도 있는 DHCP 서버
1.1.4 모바일 라우터와 테더링의 차이
1.1.5 정리

1.2 DHCP 무대의 뒤편
1.2.1 DHCP 프로토콜 완벽 해설
1.2.2 IP 주소 할당의 흐름(전반)
1.2.3 IP 주소 할당의 흐름(후반)
1.2.4 그 밖의 메시지
1.2.5 정리

1.3 DHCP 서버 구축과 운영
1.3.1 KVM 가상 머신으로 실험 환경 구축
1.3.2 DHCP 서버를 구축
1.3.3 DHCP 클라이언트로 동작 확인
1.3.4 DHCP로 고정 IP 주소 설정
1.3.5 정리

1.4 최신 IP 주소 관리 방법
1.4.1 서버 구축 자동화에도 도움이 되는 DHCP
1.4.2 서버 가상화 환경의 DHCP
1.4.3 클라우드 기반 DHCP
1.4.4 스마트폰의 IP 주소와 CGN/LSN의 세계
1.4.5 정리


2장 라우터 교과서

2.1 라우터의 기능과 라우팅 구조
2.1.1 라우터란
2.1.2 L3 스위치와 다른 점
2.1.3 라우팅이란
2.1.4 마지막으로

2.2 라우터에서 이용되는 기술 각론
2.2.1 라우터는 외부 경계
2.2.2 통신에서의 터널 기술
2.2.3 터널 이용 시 주의할 점
2.2.4 WAN 종단 장치로써의 라우터
2.2.5 업무용으로 필수인 우선 제어
2.2.6 트래픽의 시각화
2.2.7 NetFlow를 사용해보자!
2.2.8 시작하면서
2.2.9 LISP가 태어난 배경
2.2.10 LISP의 간접층 - ID(식별정보)와 Locator(위치정보)의 분류
2.2.11 LISP의 구조
2.2.12 LISP 매핑 서비스
2.2.13 LISP에 의한 멀티 호밍
2.2.14 LISP 이용 사례

2.3 활용 범위가 넓어지는 BGP와 Vyatta를 이용한 가상 환경의 라우팅
2.3.1 인터넷을 지탱하는 BGP
2.3.2 인터넷은 AS의 집합
2.3.3 조직간, 조직 내의 라우팅
2.3.4 정책을 반영하여 경로를 최적화
2.3.5 인터넷 이외에서도 사용되는 BGP
2.3.6 IP-VPN 에지로 사용되는 BGP
2.3.7 BGP 정리
2.3.8 대규모 시스템도 클라우드 위에
2.3.9 가상 라우터와 Vyatta
2.3.10 Vyatta를 사용하여 가상 사설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자
2.3.11 정리


3장 스위칭 허브 교과서

3.1 LAN 스위치의 기본
3.1.1 시작하기
3.1.2 LAN 스위치의 개요
3.1.3 학습과 포워딩
3.1.4 VLAN
3.1.5 L3 스위치
3.1.6 정리

3.2 LAN 스위치의 구조
3.2.1 LAN 스위치의 아키텍처
3.2.2 LAN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
3.2.3 고신뢰화

3.3 LAN 스위치의 진화
3.3.1 시작하기
3.3.2 플로우 베이스의 한계 극복
3.3.3 병렬 분산 처리
3.3.4 동적 라우팅과 자율분산제어
3.3.5 지금까지의 레이어2 제어
3.3.6 앞으로의 레이어2 제어


4장 케이블링 교과서(기초)

4.1 LAN 케이블을 둘러싼 환경
4.1.1 Ethernet 이전의 네트워크
4.1.2 Ethernet의 역사
4.1.3 Ethernet 케이블링

4.2 LAN 케이블의 기초와 동작을 학습한다
4.2.1 시작하기
4.2.2 트위스트 페어 이전의 LAN 케이블
4.2.3 규격 명명 규칙
4.2.4 동축 케이블 문제
4.2.5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4.2.6 UTP와 STP(실드)
4.2.7 주파수 특성
4.2.8 802.3 규격과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4.2.9 선을 꼬는 이유

4.3 LAN 케이블 만든다
4.3.1 압착공구
4.3.2 LAN 케이블 탈피기
4.3.3 니퍼
4.3.4 LAN 케이블 테스터
4.3.5 LAN 케이블
4.3.6 RJ-45 플러그
4.3.7 스트레이트와 크로스
4.3.8 AutoMDI/MDI-X 문제
4.3.9 마치면서


5장 실천! 케이블링 교과서(응용)

5.1 네트워크 고속화와 와이어링 기술 설명
5.1.1 15년 전의 네트워크 환경
5.1.2 현재 네트워크 환경
5.1.3 최신 와어어링에 대해
5.1.4 배선형태

5.2 LAN 케이블의 구조와 배선 기술
5.2.1 시작하기
5.2.2 LAN 케이블의 성능과 구조
5.2.3 의외로 모르는 케이블의 구조
5.2.4 매우 중요한 배선 기술
5.2.5 LAN 케이블 배선에서 해선 안 되는 일
5.2.6 배선 시공의 실제
5.2.7 프로에게 듣는 LAN 케이블 제작법
5.2.8 측정 시험

5.3 프로에게 듣는 광케이블의 지식과 접속
5.3.1 시작하기
5.3.2 광섬유의 구조
5.3.3 광케이블의 종류
5.3.4 광케이블 연결 방법
5.3.5 광섬유 연결 순서
5.3.6 광케이블 연결 작업


6장 무선 LAN의 교과서

6.1 (현장에서 찾다!) 무선 LAN 환경 구축의 5가지 포인트
6.1.1 ① AP 위치와 설정이 쾌적함을 좌우한다
6.1.2 ② 클라이언트가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6.1.3 ③ 무선 LAN 사용법을 바르게 이해한다
6.1.4 ④ 도입 후 관리도 생각하자
6.1.5 ⑤ 무선 LAN 환경의 미래를 생각한다

6.2 (알고 있는가?) 무선 LAN 환경 구축의 함정
6.2.1 무선 LAN 환경 이용이 적합한 업무, 적합하지 않은 업무
6.2.2 당신이 모르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 요령
6.2.3 무선 LAN 사용자 관리는 어떻게 하는가?
6.2.4 통신 속도와 안정성, 어느 쪽을 선택하는가?

6.3 (역사로 돌아보다) 무선 LAN 환경 보안과 원활한 운영
6.3.1 무선 LAN의 시작
6.3.2 무선 LAN 환경의 보안
6.3.3 라이브도어의 케이스 스터디
6.3.4 사무실 무선 LAN의 운영
6.3.5 끝으로


7장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위한 프록시 서버 교과서

7.1 역사로 보는 프록시 서버의 역할과 변천
7.1.1 역사로 보는 프록시
7.1.2 포워드와 리버스
7.1.3 프록시 서버의 동작과 이용법
7.1.4 프록시 서버의 변천

7.2 리버스 프록시의 용법과 실례
7.2.1 시작하기
7.2.2 콘텐츠 캐싱
7.2.3 부하분산(로드 밸런싱)
7.2.4 콘텐츠 압축
7.2.5 SSL 가속
7.2.6 싱글사인온
7.2.7 끝으로

7.3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되는 프록시 서버 이용 방법과 이용 사례
7.3.1 시작하기
7.3.2 클라우드형 로드 밸런스 프록시
7.3.3 클라이언트형 콘텐츠 캐시 프록시
7.3.4 클라우드형 보안 프록시
7.3.5 클라우드형 메일 프록시
7.3.6 클라우드형 스토리지 프록시
7.3.7 끝으로


8장 로드 밸런서 교과서

8.1 로드 밸런서에서 ADC로
8.1.1 로드 밸런서의 기능
8.1.2 최신 로드 밸런서의 동향

8.2 소프트웨어 기반 로드 밸런서
8.2.1 시작하기
8.2.2 하드웨어 전용기와 소프트웨어 기반 비교
8.2.3 소프트웨어로 로드 밸런스를 구현하는 방법
8.2.4 소프트웨어 로드 밸런서 구성
8.2.5 Nginx에 의한 로드 밸런스의 실례
8.2.6 LVS에 의한 로드 밸런스의 실례
8.2.7 HA(이중화) 구성
8.2.8 끝으로

8.3 클라우드상의 로드 밸런서 구현과 이용
8.3.1 클라우드에서의 로드 밸런서
8.3.2 클라우드 벤더에 따라 달라지는 제공 방식
8.3.3 사쿠라 클라우드의 로드 밸런서 기능
8.3.4 DSR 방식에 대해서
8.3.5 사쿠라 클라우드에서 로드 밸런서를 사용해보자
8.3.6 사쿠라 클라우드 로드 밸런서 기능의 이면
8.3.7 끝으로


9장 클러스터링 교과서

9.1 클러스터 시스템의 구조
9.1.1 멈추지 않는 서비스를 목표로
9.1.2 다운 타임으로 연결되는 장애
9.1.3 클러스터 시스템의 구성 패턴
9.1.4 클러스터 시스템의 성립
9.1.5 클러스터 시스템의 동작
9.1.6 클러스터 시스템 설계

9.2 데이터 센터에서의 클러스터링의 실제
9.2.1 고가용성을 실현하는 클러스터링
9.2.2 고가용성 실현의 전제가 되는 퍼실리티
9.2.3 데이터 센터에서 동작하는 가상화 기반 클러스터링
9.2.4 클라우드 이용 시의 클러스터링
9.2.5 VRRP를 이용한 가상 서버 클러스터링
9.2.6 끝으로

9.3 데이터베이스의 클러스터 구성과 미러링 방식
9.3.1 데이터베이스의 클러스터 구성에서 공통으로 고려할 점
9.3.2 4개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링 구성
9.3.3 데이터 미러링 방식의 상세
9.3.4 정리


10장 유닉스 명령어 사용법

10.1 유닉스/리눅스에서 필수인 파일시스템의 기초
10.1.1 파일시스템이란
10.1.2 파일시스템의 종류
10.1.3 ext4 파일시스템
10.1.4 파일시스템 만들기
10.1.5 파일시스템 마운트
10.1.6 파일시스템 복구 방법
10.1.7 root 예약 영역
10.1.8 파일시스템 찾는 방법(UUID와 라벨)
10.1.9 마운트 중인 블록 디바이스를 찾는 방법
10.1.10 파일시스템 크기 변경
10.1.11 끝으로

10.2 유사시를 대비한 매니지먼트 서비스 프로바이더 업무를 지탱하는 명령어
10.2.1 어떤 환경과 상황에서도 변함없이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셸은 관리에 필수
10.2.2 CASE 1: 시시각각 줄어드는 남은 디스크 용량
10.2.3 CASE 2: 갑작스러운 다운
10.2.4 CASE 3: 사라진 디스크 이미지
10.2.5 CASE 4: 괜찮은가?
10.2.6 CASE 5: 끝나지 않는 복원
10.2.7 끝으로

10.3 서버 운영과 자동화에 도움되는 핵심 명령어
10.3.1 시작하기
10.3.2 네트워크 관리
10.3.3 파일관리
10.3.4 작업 관리
10.3.5 유저 관리
10.3.6 도구?유틸리티
10.3.7 끝으로

10.4 GUI라서 불편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데스크톱에서도 활약하는 명령어
10.4.1 데스크톱 운영체제에서 명령줄을 사용하는 이유
10.4.2 명령어를 사용해 귀찮은 번거로운 작업을 간단히
10.4.3 CLI 환경을 개선하자


11장 유사시에 대비한 시스템 복구법

11.1 백업의 어제와 오늘, 데이터와 클라우드
11.1.1 예기치 않은 시스템 다운
11.1.2 애초에 백업이란 무엇인가?
11.1.3 유닉스의 백업 명령어
11.1.4 테이프 백업 미디어의 역사
11.1.5 테이프 백업의 함정
11.1.6 HDD 백업은 인터넷 보급 탓
11.1.7 스냅샷의 탄생과 과제
11.1.8 클라우드 백업의 과제란

11.2 유닉스 백업 계열 명령어 복습
11.2.1 데이터 백업의 기본
11.2.2 dump, restore 명령어
11.2.3 dd 명령어
11.2.4 tar 명령어
11.2.5 rsync 명령어
11.2.6 정리

11.3 클라우드의 데이터는 어디로 가나?
11.3.1 시작하면서
11.3.2 E.C.O에서의 백업 운영 검토
11.3.3 Nifty Cloud에서의 백업 운영
11.3.4 유저 데이터 파일 백업(Amanda 이용 예)
11.3.5 MySQL 백업
11.3.6 끝으로

11.4 클라우드 백업의 기본
11.4.1 백업의 실력자! Amazon S3
11.4.2 스냅샷에 의한 백업의 실제(Linux, Windows)
11.4.3 스냅샷의 세대 관리/Cloud Automator
11.4.4 온프레미스에서 AWS로! Storage Gateway에 의한 백업
11.4.5 Storage Gateway의 설정
11.4.6 Storage Gateway로 할 수 있는 것
11.4.7 상세 사양 설명
11.4.8 복원 방법이란
11.4.9 정리

11.5 하드디스크의 가나다
11.5.1 시작하며
11.5.2 HDD를 둘러싼 약점들
11.5.3 HDD에 잠재된 위험
11.5.4 HDD 심화 지식
11.5.5 RAID
11.5.6 HDD를 둘러싼 최신 기술
11.5.7 HDD 테스트는 어렵다
11.5.8 끝으로

11.6 복구 전문가에게 묻다: 데이터 복구의 실제
11.6.1 물리 장애
11.6.2 복구 시 읽기 테크닉
11.6.3 서버를 사용한 복구
11.6.4 화재와 HDD
11.6.5 지진해일과 HDD
11.6.6 SSD의 경우
11.6.7 SD 카드와 USB 메모리
11.6.8 기록 포맷
11.6.9 논리 장애
11.6.10 저장 미디어의 신뢰성
11.6.11 복구 비용
11.6.12 복구율과 좋은 업자란

11.7 안정적 운영을 위한 플래시 스토리지 도입 요령
11.7.1 시작하며
11.7.2 HDD와 플래시 스토리지의 차이
11.7.3 실제 도입 디자인을 향해서
11.7.4 끝으로


12장 데이터 센터 만들기

12.1 만들면서 이해하는 기술적 포인트
12.1.1 데이터 센터의 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을까?
12.1.2 DC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12.1.3 사설 클라우드
12.1.4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DC의 조건이란 무엇인가?
12.1.5 백지부터 DC를 만든다
12.1.6 장소를 찾는다
12.1.7 DC용 회선 선택
12.1.8 전력의 가나다
12.1.9 건물
12.1.10 모듈 구조
12.1.11 운용 방법과 요령
12.1.12 DC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거울

12.2 클라우드에서 저궤도 서버 위성까지 트렌드를 추적한다!
12.2.1 시작하며
12.2.2 서버는 몇 대인가?
12.2.3 데이터 센터의 구성
12.2.4 일본 데이터 센터의 동향
12.2.5 운용 감시 비용 경감
12.2.6 끝으로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상품페이지 참고
저자 상품페이지 참고
출판사 상품페이지 참고
크기 상품페이지 참고
쪽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상품페이지 참고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배송공지

사용후기

회원리뷰 총 0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 총 0개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방법]
마이페이지> 주문배송조회 > 반품/교환신청 또는 고객센터 (070-4680-5689)로 문의 바랍니다.

[반품주소]
- 도로명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로 62-20 (산남동)
- 지번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305-21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14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단순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양서-판매정가의 12%, ②일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네트워크 관리편
    인프라 엔지니어의
    32,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