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마코스 윤리학 - 그리스어 원전 번역 : 북윈도
리뷰 0 위시 120

니코마코스 윤리학 - 그리스어 원전 번역 요약정보 및 구매

그리스어 원전 번역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저자 아리스토텔레스
ISBN 9788991290525 (8991290523)
정가 24,000원
판매가 21,600원(10% 할인)
배송비 무료배송
포인트 정책 설명문 닫기

00포인트

포인트 정책 설명문 출력

선택된 옵션

관심상품

상품 정보

사은품
상품 기본설명
그리스어 원전 번역
상품 상세설명
원전번역으로 만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대표적인 윤리철학서!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윤리학에 관한 가장 체계적인 저술로 평가받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그리스어 원전으로 번역한 책이다. 원전에 충실히 따르면서도 최대한 일상어를 사용하여 꼼꼼하게 다듬어, 철학도가 아닌 독자들도 쉽게 읽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행복한 삶이 인생의 목적이라는 상식에서 출발하는 이 책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아들 니코마코스에게 들려준 것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삶의 궁극적 가치가 담겨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선은 행복이며, 행복은 마음가짐이 아니라 인간의 활동이 수행될 때 이루어진다고 강조한다.

별밤지기 코멘터리

아리스토텔레스는 미덕, 중용, 자발성, 정의, 실천적인 지혜, 우애, 쾌락과 같은 주요 개념들을 통해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행복은 관조적인 활동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이런 문제들을 관념적으로 다루지 않고 기존의 통설들을 비판하고 비슷한 예를 들어가면서 경험론적으로 접근하지만, 그의 저술들이 난해한 철학서들에 속하는 만큼 쉽게 이해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천병희 교수는 원문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목차
옮긴이 서문 어떤 삶이 좋은 삶, 곧 행복한 삶인가·5
주요 연대표·11
일러두기·20

제1권 인간의 좋음
제1장t모든 인간 활동은 좋음을 추구한다.
하나의 목적은 다른 목적에 종속될 수 있다·22
제2장t인간의 최고선을 연구하는 학문은 정치학이다·23
제3장t정치학은 정밀과학이 아니다·24
제4장t궁극적 목적인 행복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26
제5장t삶의 세 가지 유형. 관조적 삶은 나중에 고찰할 것이다·28
제6장t좋음의 이데아를 비판하다·30
제7장t인간에게 좋음은 무엇인가? 인생의 궁극적 목적이며
자족적인 것, 바로 행복이다·35
제8장t우리의 행복관은 대중의 통념과도 일치한다·40
제9장t어떻게 해야 행복해지는가·44
제10장t살아 있는 동안에는 어느 누구도 행복하다고 할 수 없는가·46
제11장t산 사람의 운세가 죽은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치는가·50
제12장t미덕은 칭찬받을 만하지만 행복은 칭찬을 초월한다·52
제13장t좋음이 무엇인지 이해하려면 인간의 혼을 연구해야 한다·53

제2권 도덕적 미덕
제1장t도덕적 미덕은 다른 기술처럼 반복행위로 습득된다·60
제2장t정확히 규정할 수 없는 행위도 지나침과 모자람은
피해야 한다·62
제3장t자신의 행위가 즐거운지 괴로운지는 도덕적 성숙의 지표가 된다.
훌륭한 처신은 쾌감이나 고통을 대하는 적절한 태도에서
나오기 때문이다·65
제4장t유덕한 행위로 미덕을 습득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답하다·68
제5장t미덕을 정의하려면 그것이 어느 부류에 속하는지 정해야 한다.
미덕은 감정이나 능력이 아니라 마음가짐이다·70
제6장t도덕적 미덕의 특징은 중용을 선택하는 것이다·71
제7장t중용의 원칙을 개별 미덕에 적용해보다·76
제8장t중용이 때로는 양극단 중 한 극단에 더 가깝거나 가까워 보인다·80
제9장t중용을 위한 실천적 지침·82

제3권 도덕적 책임
제1장t행위는 자발적이거나 비자발적이다·88
제2장t합리적 선택은 자발성과 다르다. 어떤 대상을 선택할 때는
먼저 숙고해야 한다·95
제3장t숙고의 성질과 대상. 숙고는 수단에 관련하고 목적에 관련하지 않는다·98
제4장t소망의 대상은 좋음이거나 좋음으로 보이는 것이다·102
제5장t미덕과 악덕은 우리 자신에게 달려 있다·104
제6장t용기.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것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할 것·110
제7장t용기의 동기는 고매함이다. 비겁함과 무모함의 특징·112
제8장t용기와 비슷한 다섯 가지 마음가짐·115
제9장t용기는 고통과 쾌락에 관련된다·120
제10장t절제. 절제에 관련된 쾌락들·122
제11장t절제와 방종의 특징. 무감각·126
제12장t방종이 비겁함보다 더 자발적이다. 방종한 사람과 응석둥이의 비교·128

제4권 다른 미덕들
제1장t돈에 대한 올바른 마음가짐. 후함·132
제2장t통 큼·141
제3장t명예에 관련된 미덕들·146
제4장t작은 명예에 관련된 미덕들·154
제5장t분노에 관련된 미덕들·156
제6장t사교에 관련된 미덕들·159
제7장t진실성·162
제8장t재치·165
제9장t수치심·168

제5권 정의
제1장t정의는 무엇이며 불의는 무엇인가·172
제2장t분배적 정의와 조정적 정의·176
제3장t기하학적 비례에 따른 분배적 정의·180
제4장t산술적 비례에 따른 조정적 정의·183
제5장t교환에서의 정의. 응보·187

제6장t정치적 정의·193
제7장t자연적 정의와 법적 정의·195
제8장t자발적 행위와 비자발적 행위. 의도의 중요성·197
제9장t자진해서 불의를 당하는 것이 가능한가·201
제10장t법적 정의를 시정하는 공정성·207
제11장t사람은 자기를 부당하게 대우할 수 있는가·210

제6권 지적 미덕
제1장t왜 지적 미덕을 고찰해야 하는가? 지성은 관조적인 것과
수리적인 것으로 나뉜다·216
제2장t미덕과 사고·218
제3장t진리에 도달할 수 있는 다섯 가지 마음가짐. 학문적 인식·220
제4장t기술·222
제5장t실천적 지혜·223
제6장t직관·225
제7장t사변적 지혜·226
제8장t실천적 지혜와 정치학·229
제9장t심사숙고·232
제10장t판단력·235
제11장t분별력과 고려·236
제12장t실천적 지혜와 사변적 지혜의 관계·238
제13장t실천적 지혜와 미덕의 관계·242

제7권 자제력과 자제력 없음. 쾌락
제1장t여섯 가지 성격. 통념들·246
제2장t통념에 대한 논의·249
제3장t상충하는 의견을 예비적으로 고찰하다·253
제4장t자제력 없음의 영역·258
제5장t병적인 쾌락들·262
제6장t분노와 욕구에 자제력 없음·265
제7장t쾌락과 고통에 대한 여러 태도·268
제8장t방종과 자제력 없음의 또 다른 차이점·272
제9장t자제력과 절제의 관계·274
제10장t자제력 없음의 또 다른 특징들·277
제11장t쾌락을 비판하는 세 가지 견해·280
제12장t앞서 말한 비판들에 이의제기·281
제13장t어떤 종류의 쾌락은 최고선이기도 하다·284
제14장t쾌락의 여러 종류·287

제8권 우애Ⅰ
제1장t우애는 필요불가결하다·294
제2장t우애의 대상·297
제3장t우애의 세 종류·299
제4장t최선의 우애와 열등한 우애·302
제5장t마음가짐으로서의 우애·305
제6장t조건부 우애와 피상적 우애·307

제7장t동등하지 못한 자들 사이의 우애·310
제8장t우애에서는 사랑하는 것이 사랑받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312
제9장t우애와 공동체·315
제10장t정체의 종류·317
제11장t이들 여러 공동체에서의 우애와 정의·320
제12장t여러 형태의 우애·322
제13장t동등한 자들 사이의 우애에서 지켜야 할 원칙·325
제14장t동등하지 못한 자들의 상충되는 주장·329

제9권 우애Ⅱ
제1장t우애에서 동기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334
제2장t우애의 여러 요구로 인한 문제점·338
제3장t우애가 해소되는 이유·341
제4장t자기애에 근거한 우애·343
제5장t우애와 호의의 차이·346
제6장t우애와 화합·348
제7장t왜 시혜자가 수혜자보다 더 사랑하는가·350
제8장t진정한 자기애의 본성·352
제9장t행복하려면 친구가 필요한가·358
제10장t친구는 얼마나 많아야 하는가·363
제11장t잘나갈 때 친구가 더 필요한가, 아니면 불운할 때인가·365
제12장t친교의 가치·368

제10권 쾌락
제1장t쾌락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견해·372
제2장t쾌락은 좋은 것이라는 견해를 논한다·374
제3장t쾌락은 백해무익하다는 견해를 논한다·376
제4장t쾌락의 정의·380
제5장t활동이 여러 가지이듯 쾌락도 여러 가지이다·385
제6장t행복의 본성·390
제7장t관조적 삶이 가장 행복하다·393
제8장t도덕적 활동은 제2의 행복이다·396
제9장t우리의 목적을 달성하려면 입법이 필요하다. 정치학으로의 이행·401

참고문헌·411
출판사 서평
아리스토텔레스의 대표적인 윤리철학서 『니코마코스 윤리학』(Ethika Nikomacheia)이 천병희 단국대 명예교수의 희랍어 원전 번역으로 새롭게 나왔다. 천교수가 서양 최초의 문예비평서로 평가받는 『시학』(詩學)의 우리말 번역본을 펴낸 때가 1976년이고,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라는 명제로 널리 알려진 『정치학』은 2009년에 우리말 번역본을 펴냈다. 그리고 2013년 10월, 2400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윤리학에 관한 가장 체계적인 저술로 평가받는 고전 『니코마코스 윤리학』 우리말 번역본을 펴냈다. 한 번역가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3대 명저를 원전번역으로 완벽 출간하는 기록을 세운 것이다. 한 번역가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3대 명저를 원전번역으로 출간
헤아리면 37년이 넘는 세월이다. 더구나 74세의 천병희 교수는 서구 정치학의 뿌리인 『정치학』의 뿌리라 할 『국가』를 올 초에 펴낸 바 있다. 『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 /파이돈/향연』『파이드로스/메논』 등 플라톤의 주요 대화편들의 번역 과정에서 일궈낸 성과다. 그리스 정신문화의 3대 지주이며 원천인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을 한 번역가의 우리말 번역본으로 만나볼 수 있다는 점도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정치학』과 짝을 이루는 저작, 『니코마코스 윤리학』
또한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이어서 저술된 『정치학』과 짝을 이루는 저작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첫머리와 끝부분에서 윤리학을 정치학 입문으로 간주한다.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마지막 구절은 "그렇다면 이 문제들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기로 하자."인데, 이제 ‘정치학을 논하기로 하자’는 뜻. 그리고 국가(폴리스)의 발생과 구조와 최선의 형태를 논의하는『정치학』은 "모든 국가는 분명 일종의 공동체이며, 모든 공동체는 어떤 좋음(agathon, 善)을 실현하기 위해 구성된다."로 시작된다. 개인의 행복이 무엇인지, 어떻게 그 행복을 얻을 수 있는지 탐구하는 것이 『윤리학』이라면, 『정치학』은 그 개인들이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는 국가공동체를 탐구 대상으로 삼는다. 윤리학의 주제가 개인 또는 일부 집단의 행복이라면 정치학의 주제는 공동체 전체의 행복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처럼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학을 윤리학의 일부로 보았는데, 『윤리학』의 핵심 원칙인 '중용'이 『정치학』에서도 핵심 원칙으로 작동한다. 개인의 행복이 중용에 있듯, 훌륭한 국가도 중용에 의지해야 한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삶의 궁극적 가치는 행복(eudaimonia)한 삶
인간은 무엇을 위해 사는가? 소크라테스는 '이성적 사유와 일치하는 삶'을, 플라톤은 '좋음의 이데아'라는 지고한 가치를 추구했다. 그렇다면 그리스 철학의 상속자이면서, 이들의 철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삶의 궁극적 가치는 무엇이었을까? 바로 ‘행복한 삶’이다. 그의 아들 니코마코스에게 들려준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이처럼 관념적이지 않고 소박하다. 행복한 삶이 인생의 목적이라는 상식에서 출발한다. 그리스어로 ‘행복’(eudaimonia)은 만족한, 성취한, 그리고 활발히 활동하는 삶을 뜻한다. 이 책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선은 행복이며, 행복은 마음가짐이 아니라 인간의 활동이 수행될 때 이루어진다고 한다.
그 행복에는 세 가지 조건이 있다. 첫째, 행복은 그 자체가 목적이어야 한다. 자연은 어떤 목적 없이는 아무것도 만들지 않았다. 곧 모든 것은 그 무엇을 위한 수단인데, 행복은 그 자체가 목적이라는 얘기다. 둘째, 행복은 활동이다. 활동했을 때 느끼는 성취감(혹은 쾌감)은 활동의 부산물이다. 객관화와 계량화가 어려운 행복, 그러나 의지만 있으면 반복할 수 있는 명백한 활동이라고 주장한다. 셋째, 행복은 인생 전체에 걸친 활동이다. "제비 한 마리가 날아온다고 하루아침에 봄이 오지 않듯, 사람도 하루아침에 또는 단기간에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1권 7장) 행복한 삶은 인생 전체를 걸친 지속가능한 삶의 특질, 곧 행복은 그 자체로 좋은, 일생에 걸친 활동이다. 왜 지금 『니코마코스 윤리학』인가
인문학이란 타이틀을 달고 있으나, 실체는 자기계발이니 성공학이니 긍정주의 심리학의 범주에 머무는 저작과 강연들이 난무하는 지금, 실용적 지식에서 인류 역사가 남긴 고전 강독으로 눈을 돌리는 흐름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대표주자는 공병호 ‘자기경영’아카데미 소장인데,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철학을 담은 3대 저작인 『에우데모스 윤리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을 행복 3부작으로 부르고 있다. “『니코마코스 윤리학』이 개인의 행복을 중심으로 하는 '미시(micro) 행복학'이라면『정치학』은 공동체의 행복을 다루는 '거시(macro) 행복학'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이 책은 2000년 이후 주요 대학의 대학입학 논술고사에서 제시문으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서양 고전 중의 하나(그의 다른 저서인 『정치학』, 『수사학』 등과 더불어, 동아일보, 2006. 3. 7.)이기도 하다.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우리말 번역본과 주석서들은 이미 여러 권 나와 있다. 윤리학은 고루하다는 통념을 깨는 재미가 있기 때문이리라. 그러나 기존의 번역서들이 철학연구자가 아니라도 술술 읽어나갈 수 있는지는 독자 스스로가 판단할 몫이다. 원전에 충실히 따르면서도 최대한 일상어를 사용하여 꼼꼼하게 다듬어 철학도가 아닌 독자들도 쉽게 읽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둔 것이 천교수의 번역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서양 고대 사람인만큼 그의 글은 간고(簡古)한 것인데, 원문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밑받침되지 않으면 번역이 번잡해지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보다 힘들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는 청년 시절에 스승 플라톤의 학원 ‘아카데메이아’(Akademeia)에서 20여 년을 학생 겸 교수로 공부하고 가르친 뒤 40대에 새로운 학원 ‘뤼케이온’(Lykeion)을 열어 당대의 젊은이들을 가르쳤다. 이 시기에 아리스토텔레스는 방대한 분량의 저술작업을 했는데, 형이상학에서부터 윤리학·정치학·자연학까지 거의 모든 학문 분야에 걸쳐 400여 편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저술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저술들[엑소테리카(exoterika)]과 학원 내부용 강의노트들[에소테리카(esoterika)]로 나뉘는데, 생전에 출간된 외부용 저술은 모두 사라지고 현재 전해지는 것은 50편 정도의 내부용 저술뿐인데, 『니코마코스 윤리학』도 그 가운데 하나다.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니코마코스 윤리학 - 그리스어 원전 번역
저자 아리스토텔레스
출판사
ISBN 9788991290525 (8991290523)
쪽수 412
출간일 2013-10-15
사이즈 152 * 224 * 30 mm /732g
목차 또는 책소개 옮긴이 서문 어떤 삶이 좋은 삶, 곧 행복한 삶인가·5
주요 연대표·11
일러두기·20

제1권 인간의 좋음
제1장t모든 인간 활동은 좋음을 추구한다.
하나의 목적은 다른 목적에 종속될 수 있다·22
제2장t인간의 최고선을 연구하는 학문은 정치학이다·23
제3장t정치학은 정밀과학이 아니다·24
제4장t궁극적 목적인 행복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26
제5장t삶의 세 가지 유형. 관조적 삶은 나중에 고찰할 것이다·28
제6장t좋음의 이데아를 비판하다·30
제7장t인간에게 좋음은 무엇인가? 인생의 궁극적 목적이며
자족적인 것, 바로 행복이다·35
제8장t우리의 행복관은 대중의 통념과도 일치한다·40
제9장t어떻게 해야 행복해지는가·44
제10장t살아 있는 동안에는 어느 누구도 행복하다고 할 수 없는가·46
제11장t산 사람의 운세가 죽은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치는가·50
제12장t미덕은 칭찬받을 만하지만 행복은 칭찬을 초월한다·52
제13장t좋음이 무엇인지 이해하려면 인간의 혼을 연구해야 한다·53

제2권 도덕적 미덕
제1장t도덕적 미덕은 다른 기술처럼 반복행위로 습득된다·60
제2장t정확히 규정할 수 없는 행위도 지나침과 모자람은
피해야 한다·62
제3장t자신의 행위가 즐거운지 괴로운지는 도덕적 성숙의 지표가 된다.
훌륭한 처신은 쾌감이나 고통을 대하는 적절한 태도에서
나오기 때문이다·65
제4장t유덕한 행위로 미덕을 습득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답하다·68
제5장t미덕을 정의하려면 그것이 어느 부류에 속하는지 정해야 한다.
미덕은 감정이나 능력이 아니라 마음가짐이다·70
제6장t도덕적 미덕의 특징은 중용을 선택하는 것이다·71
제7장t중용의 원칙을 개별 미덕에 적용해보다·76
제8장t중용이 때로는 양극단 중 한 극단에 더 가깝거나 가까워 보인다·80
제9장t중용을 위한 실천적 지침·82

제3권 도덕적 책임
제1장t행위는 자발적이거나 비자발적이다·88
제2장t합리적 선택은 자발성과 다르다. 어떤 대상을 선택할 때는
먼저 숙고해야 한다·95
제3장t숙고의 성질과 대상. 숙고는 수단에 관련하고 목적에 관련하지 않는다·98
제4장t소망의 대상은 좋음이거나 좋음으로 보이는 것이다·102
제5장t미덕과 악덕은 우리 자신에게 달려 있다·104
제6장t용기.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것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할 것·110
제7장t용기의 동기는 고매함이다. 비겁함과 무모함의 특징·112
제8장t용기와 비슷한 다섯 가지 마음가짐·115
제9장t용기는 고통과 쾌락에 관련된다·120
제10장t절제. 절제에 관련된 쾌락들·122
제11장t절제와 방종의 특징. 무감각·126
제12장t방종이 비겁함보다 더 자발적이다. 방종한 사람과 응석둥이의 비교·128

제4권 다른 미덕들
제1장t돈에 대한 올바른 마음가짐. 후함·132
제2장t통 큼·141
제3장t명예에 관련된 미덕들·146
제4장t작은 명예에 관련된 미덕들·154
제5장t분노에 관련된 미덕들·156
제6장t사교에 관련된 미덕들·159
제7장t진실성·162
제8장t재치·165
제9장t수치심·168

제5권 정의
제1장t정의는 무엇이며 불의는 무엇인가·172
제2장t분배적 정의와 조정적 정의·176
제3장t기하학적 비례에 따른 분배적 정의·180
제4장t산술적 비례에 따른 조정적 정의·183
제5장t교환에서의 정의. 응보·187

제6장t정치적 정의·193
제7장t자연적 정의와 법적 정의·195
제8장t자발적 행위와 비자발적 행위. 의도의 중요성·197
제9장t자진해서 불의를 당하는 것이 가능한가·201
제10장t법적 정의를 시정하는 공정성·207
제11장t사람은 자기를 부당하게 대우할 수 있는가·210

제6권 지적 미덕
제1장t왜 지적 미덕을 고찰해야 하는가? 지성은 관조적인 것과
수리적인 것으로 나뉜다·216
제2장t미덕과 사고·218
제3장t진리에 도달할 수 있는 다섯 가지 마음가짐. 학문적 인식·220
제4장t기술·222
제5장t실천적 지혜·223
제6장t직관·225
제7장t사변적 지혜·226
제8장t실천적 지혜와 정치학·229
제9장t심사숙고·232
제10장t판단력·235
제11장t분별력과 고려·236
제12장t실천적 지혜와 사변적 지혜의 관계·238
제13장t실천적 지혜와 미덕의 관계·242

제7권 자제력과 자제력 없음. 쾌락
제1장t여섯 가지 성격. 통념들·246
제2장t통념에 대한 논의·249
제3장t상충하는 의견을 예비적으로 고찰하다·253
제4장t자제력 없음의 영역·258
제5장t병적인 쾌락들·262
제6장t분노와 욕구에 자제력 없음·265
제7장t쾌락과 고통에 대한 여러 태도·268
제8장t방종과 자제력 없음의 또 다른 차이점·272
제9장t자제력과 절제의 관계·274
제10장t자제력 없음의 또 다른 특징들·277
제11장t쾌락을 비판하는 세 가지 견해·280
제12장t앞서 말한 비판들에 이의제기·281
제13장t어떤 종류의 쾌락은 최고선이기도 하다·284
제14장t쾌락의 여러 종류·287

제8권 우애Ⅰ
제1장t우애는 필요불가결하다·294
제2장t우애의 대상·297
제3장t우애의 세 종류·299
제4장t최선의 우애와 열등한 우애·302
제5장t마음가짐으로서의 우애·305
제6장t조건부 우애와 피상적 우애·307

제7장t동등하지 못한 자들 사이의 우애·310
제8장t우애에서는 사랑하는 것이 사랑받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312
제9장t우애와 공동체·315
제10장t정체의 종류·317
제11장t이들 여러 공동체에서의 우애와 정의·320
제12장t여러 형태의 우애·322
제13장t동등한 자들 사이의 우애에서 지켜야 할 원칙·325
제14장t동등하지 못한 자들의 상충되는 주장·329

제9권 우애Ⅱ
제1장t우애에서 동기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334
제2장t우애의 여러 요구로 인한 문제점·338
제3장t우애가 해소되는 이유·341
제4장t자기애에 근거한 우애·343
제5장t우애와 호의의 차이·346
제6장t우애와 화합·348
제7장t왜 시혜자가 수혜자보다 더 사랑하는가·350
제8장t진정한 자기애의 본성·352
제9장t행복하려면 친구가 필요한가·358
제10장t친구는 얼마나 많아야 하는가·363
제11장t잘나갈 때 친구가 더 필요한가, 아니면 불운할 때인가·365
제12장t친교의 가치·368

제10권 쾌락
제1장t쾌락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견해·372
제2장t쾌락은 좋은 것이라는 견해를 논한다·374
제3장t쾌락은 백해무익하다는 견해를 논한다·376
제4장t쾌락의 정의·380
제5장t활동이 여러 가지이듯 쾌락도 여러 가지이다·385
제6장t행복의 본성·390
제7장t관조적 삶이 가장 행복하다·393
제8장t도덕적 활동은 제2의 행복이다·396
제9장t우리의 목적을 달성하려면 입법이 필요하다. 정치학으로의 이행·401

참고문헌·411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상품페이지 참고
저자 상품페이지 참고
출판사 상품페이지 참고
크기 상품페이지 참고
쪽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상품페이지 참고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배송공지

사용후기

회원리뷰 총 0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 총 0개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방법]
마이페이지> 주문배송조회 > 반품/교환신청 또는 고객센터 (070-4680-5689)로 문의 바랍니다.

[반품주소]
- 도로명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로 62-20 (산남동)
- 지번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305-21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14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단순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양서-판매정가의 12%, ②일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니코마코스 윤리학 - 그리스어 원전 번역
    니코마코스 윤리학
    2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