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으로 살펴보는 아키텍처 패턴: TDD, DDD, EDM 적용하기 : 북윈도
리뷰 0 위시 120

파이썬으로 살펴보는 아키텍처 패턴: TDD, DDD, EDM 적용하기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한빛미디어
저자 해리 퍼시벌 , 밥 그레고리
ISBN 9791162244319 (1162244313)
정가 32,000원
판매가 28,800원(10% 할인)
배송비 무료배송
포인트 정책 설명문 닫기

00포인트

포인트 정책 설명문 출력

선택된 옵션

관심상품

상품 정보

사은품
상품 상세설명
브랜던 로즈(Brandon Rhodes)(python-patterns.guide 운영자)

파이썬을 활용한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면서 육각형/클린 아키텍처,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도메인 주도 설계 등 고수준 디자인 패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책은 검증된 예제와 아키텍처 디자인 패턴을 소개하며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 의존성을 낮추고, 테스트 스위트에서 최선의 가치를 얻는 방법을 알려준다. 또한 자바나 C#보다 간단하고 우아한 파이썬 코드의 장점을 잘 살려 각 패턴을 설명한다.

목차
CHAPTER 0 도입
0.1 설계가 왜 잘못되는가?
0.2 캡슐화와 추상화
0.3 계층화
0.4 의존성 역전 원칙
0.5 모든 비즈니스 로직을 위한 장소: 도메인 모델

[PART I 도메인 모델링을 지원하는 아키텍처 구축]

CHAPTER 1 도메인 모델링
1.1 도메인 모델이란?
1.2 도메인 언어 탐구
1.3 도메인 모델 단위 테스트
1.4 모든 것을 객체로 만들 필요는 없다: 도메인 서비스 함수

CHAPTER 2 저장소 패턴
2.1 도메인 모델 영속화
2.2 의사코드: 무엇이 필요할까?
2.3 데이터 접근에 DIP 적용하기
2.4 기억 되살리기: 우리가 사용하는 모델
2.5 저장소 패턴 소개
2.6 테스트에 사용하는 가짜 저장소를 쉽게 만드는 방법
2.7 파이썬에서 포트는 무엇이고, 어댑터란 무엇인가
2.8 마치며

CHAPTER 3 막간: 결합과 추상화
3.1 추상적인 상태는 테스트를 더 쉽게 해준다
3.2 올바른 추상화 선택
3.3 선택한 추상화 구현
3.4 마치며

CHAPTER 4 첫 번째 유스 케이스: 플라스크 API와 서비스 계층
4.1 애플리케이션을 실세계와 연결하기
4.2 첫 번째 엔드투엔드 테스트
4.3 직접 구현하기
4.4 데이터베이스 검사가 필요한 오류 조건
4.5 서비스 계층 소개와 서비스 계층 테스트용 FakeRepository 사용
4.6 모든 것을 왜 서비스라고 부르는가?
4.7 모든 요소를 폴더에 넣고 각 부분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 살펴보기
4.8 마치며

CHAPTER 5 높은 기어비와 낮은 기어비의 TDD
5.1 테스트 피라미드는 어떻게 생겼는가?
5.2 도메인 계층 테스트를 서비스 계층으로 옮겨야 하는가?
5.3 어떤 종류의 테스트를 작성할지 결정하는 방법
5.4 높은 기어비와 낮은 기어비
5.5 서비스 계층 테스트를 도메인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기
5.6 E2E 테스트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개선하기
5.7 마치며

CHAPTER 6 작업 단위 패턴
6.1 작업 단위는 저장소와 협력
6.2 테스트-통합 테스트로 UoW 조정하기
6.3 작업 단위와 작업 단위의 콘텍스트 관리자
6.4 UoW를 서비스 계층에 사용하기
6.5 커밋/롤백 동작에 대한 명시적인 테스트
6.6 명시적 커밋과 암시적 커밋
6.7 예제: UoW를 사용해 여러 연산을 원자적 단위로 묶기
6.8 통합 테스트 깔끔하게 정리하기
6.9 마치며

CHAPTER 7 애그리게이트와 일관성 경계
7.1 모든 것을 스프레드시트에서 처리하지 않는 이유
7.2 불변조건, 제약, 일관성
7.3 애그리게이트란?
7.4 애그리게이트 선택
7.5 한 애그리게이트 = 한 저장소
7.6 성능은 어떨까?
7.7 버전 번호와 낙관적 동시성
7.8 데이터 무결성 규칙 테스트
7.9 마치며
7.10 1부 돌아보기

[PART II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CHAPTER 8 이벤트와 메시지 버스
8.1 지저분해지지 않게 막기
8.2 단일 책임 원칙
8.3 메시지 버스에 전부 다 싣자
8.4 첫 번째 선택지: 서비스 계층이 모델에서 이벤트를 가져와 메시지 버스에 싣는다
8.5 두 번째 선택지: 서비스 계층은 자신만의 이벤트를 발생한다
8.6 세 번째 선택지: UoW가 메시지 버스에 이벤트를 발행한다
8.7 마치며

CHAPTER 9 메시지 버스를 타고 시내로 나가기
9.1 새로운 아키텍처가 필요한 새로운 요구 사항
9.2 서비스 함수를 메시지 핸들러로 리팩터링하기
9.3 새로운 요구 사항 구현하기
9.4 새 핸들러 시범운영하기
9.5 선택: 가짜 메시지 버스와 독립적으로 이벤트 핸들러 단위 테스트하기
9.6 마치며

CHAPTER 10 커맨드와 커맨드 핸들러
10.1 커맨드와 이벤트
10.2 예외 처리 방식의 차이점
10.3 논의: 이벤트, 커맨드, 오류 처리
10.4 동기적으로 오류 복구하기
10.5 마치며

CHAPTER 11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이벤트를 사용한 마이크로서비스 통합
11.1 분산된 진흙 공, 명사로 생각하기
11.2 분산 시스템에서 오류 처리하기
11.3 대안: 비동기 메시징을 사용한 시간적 결합
11.4 레디스 발행/구독 채널을 통합에 사용하기
11.5 엔드투엔드 테스트를 사용해 모든 기능 시범운영하기
11.6 내부 이벤트와 외부 이벤트 비교
11.7 마치며

CHAPTER 12 명령-질의 책임 분리(CQRS)
12.1 쓰기 위해 존재하는 도메인 모델
12.2 가구를 구매하지 않은 사용자
12.3 Post/리디렉션/Get과 CQS
12.4 점심을 잠깐 미뤄라
12.5 CQRS 뷰 테스트하기
12.6 ‘명확한’ 대안 1: 기존 저장소 사용하기
12.7 읽기 연산에 최적화되지 않은 도메인 모델
12.8 ‘명확한’ 대안 2: ORM 사용하기
12.9 SELECT N+1과 다른 고려 사항
12.10 이제는 상어를 완전히 뛰어 넘을 때이다
12.11 읽기 모델 구현을 변경하기 쉽다
12.12 마치며

CHAPTER 13 의존성 주입(그리고 부트스트래핑)
13.1 암시적 의존성과 명시적 의존성
13.2 명시적 의존성은 완전히 이상하고 자바스러운가?
13.3 핸들러 준비: 클로저와 부분함수를 사용한 수동 DI
13.4 클래스를 사용한 대안
13.5 부트스트랩 스크립트
13.6 실행 도중 핸들러가 제공된 메시지 버스
13.7 진입점에서 부트스트랩 사용하기
13.8 테스트에서 DI 초기화하기
13.9 어댑터 ‘적절히’ 구축하기: 실제 사례
13.10 마치며

CHAPTER 14 맺음말
14.1 왜 지금인가?
14.2 여기서 거기까지 어떻게 갈 수 있을까?
14.3 뒤엉킨 책임 분리
14.4 애그리게이트와 제한된 콘텍스트 식별하기
14.5 스트랭글러 패턴을 통해 마이크로서비스로 전환하는 이벤트 기반 접근 방법
14.6 새로운 일을 시작하도록 이해관계자 설득하기
14.7 기술 리뷰어들의 질문
14.8 풋건
14.9 추가 자료
14.10 마치며

[PART III 부록]

APPENDIX A 정리 다이어그램과 표

APPENDIX B 프로젝트 구조 틀
B.1 환경 변수, 12팩터, 설정, 컨테이너 내부와 외부
B.2 config.py
B.3 docker-compose와 컨테이너 설정
B.4 소스를 패키지로 설치하기
B.5 Dockerfile
B.6 테스트
B.7 마치며

APPENDIX C 인프라 교체: CSV로 모든 데이터 처리하기
C.1 CSV를 사용한 저장소와 작업 단위 구현하기

APPENDIX D 장고에서 작업 단위와 저장소 패턴 사용하기
D.1 장고를 사용한 저장소 패턴
D.2 장고 작업 단위 패턴
D.3 API: 장고 뷰는 어댑터다
D.4 이 모든 게 왜 그렇게 어려웠는가?
D.5 이미 장고 앱을 사용 중이라면
D.6 장고와 함께 진행할 수 있는 단계들

APPENDIX E 검증
E.1 검증이란 무엇인가?
E.2 문법 검증
E.3 포스텔의 법칙과 톨러런트 리더 패턴
E.4 가장자리에서 검증하기
E.5 의미 검증하기
E.6 검증 화용론
출판사 서평
고수준 아키텍처 패턴을 적절한 위치에서 활용하는 능력을 키워보자 이 책은 파이썬을 활용한 실전 예제를 통해 도메인 주도 개발을 설명한다. 설명하는 과정에서 이론이나 실무에 지나치게 치우치지 않고 너무 복잡하거나 너무 간단한 예제를 사용하지도 않는다. 즉, 아주 적절한 수준의 설명과 예제로 도메인 주도 개발의 핵심 요소를 이해하기 쉽도록 도메인 모델과 소프트웨어 웨어를 설계하는 과정을 알려준다.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책을 논의하며 저자가 권하는 패턴의 숨은 의도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가이드한다. 복잡성을 처리해야 하는 팀에게 충분히 가치 있고 반드시 읽어야 하는, 세상에 오직 하나뿐인 도메인 주도 개발 책이다.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이 점차 복잡해짐에 따라 고객의 요구 사항에 맞춰 도메인 모델을 도출하고 구현하는 문제에 어려움을 겪는 개발자에게 이 책은 완벽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주요 내용
●의존성 역전, 포트와 어댑터 패턴(육각형/클린 아키텍처)과 의존성 주입의 연결 관계
●도메인 주도 설계에서 엔티티, 값 객체, 애그리게이트를 구별하는 법
●영속적 저장소 처리를 위한 저장소와 작업 단위 패턴
●이벤트, 커맨드, 메시지 버스
●명령-질의 책임 분리(CQRS)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파이썬으로 살펴보는 아키텍처 패턴: TDD, DDD, EDM 적용하기
저자 해리 퍼시벌 , 밥 그레고리
출판사 한빛미디어
ISBN 9791162244319 (1162244313)
쪽수 356
출간일 2021-06-03
사이즈 181 * 235 * 17 mm /629g
목차 또는 책소개 CHAPTER 0 도입
0.1 설계가 왜 잘못되는가?
0.2 캡슐화와 추상화
0.3 계층화
0.4 의존성 역전 원칙
0.5 모든 비즈니스 로직을 위한 장소: 도메인 모델

[PART I 도메인 모델링을 지원하는 아키텍처 구축]

CHAPTER 1 도메인 모델링
1.1 도메인 모델이란?
1.2 도메인 언어 탐구
1.3 도메인 모델 단위 테스트
1.4 모든 것을 객체로 만들 필요는 없다: 도메인 서비스 함수

CHAPTER 2 저장소 패턴
2.1 도메인 모델 영속화
2.2 의사코드: 무엇이 필요할까?
2.3 데이터 접근에 DIP 적용하기
2.4 기억 되살리기: 우리가 사용하는 모델
2.5 저장소 패턴 소개
2.6 테스트에 사용하는 가짜 저장소를 쉽게 만드는 방법
2.7 파이썬에서 포트는 무엇이고, 어댑터란 무엇인가
2.8 마치며

CHAPTER 3 막간: 결합과 추상화
3.1 추상적인 상태는 테스트를 더 쉽게 해준다
3.2 올바른 추상화 선택
3.3 선택한 추상화 구현
3.4 마치며

CHAPTER 4 첫 번째 유스 케이스: 플라스크 API와 서비스 계층
4.1 애플리케이션을 실세계와 연결하기
4.2 첫 번째 엔드투엔드 테스트
4.3 직접 구현하기
4.4 데이터베이스 검사가 필요한 오류 조건
4.5 서비스 계층 소개와 서비스 계층 테스트용 FakeRepository 사용
4.6 모든 것을 왜 서비스라고 부르는가?
4.7 모든 요소를 폴더에 넣고 각 부분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 살펴보기
4.8 마치며

CHAPTER 5 높은 기어비와 낮은 기어비의 TDD
5.1 테스트 피라미드는 어떻게 생겼는가?
5.2 도메인 계층 테스트를 서비스 계층으로 옮겨야 하는가?
5.3 어떤 종류의 테스트를 작성할지 결정하는 방법
5.4 높은 기어비와 낮은 기어비
5.5 서비스 계층 테스트를 도메인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기
5.6 E2E 테스트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개선하기
5.7 마치며

CHAPTER 6 작업 단위 패턴
6.1 작업 단위는 저장소와 협력
6.2 테스트-통합 테스트로 UoW 조정하기
6.3 작업 단위와 작업 단위의 콘텍스트 관리자
6.4 UoW를 서비스 계층에 사용하기
6.5 커밋/롤백 동작에 대한 명시적인 테스트
6.6 명시적 커밋과 암시적 커밋
6.7 예제: UoW를 사용해 여러 연산을 원자적 단위로 묶기
6.8 통합 테스트 깔끔하게 정리하기
6.9 마치며

CHAPTER 7 애그리게이트와 일관성 경계
7.1 모든 것을 스프레드시트에서 처리하지 않는 이유
7.2 불변조건, 제약, 일관성
7.3 애그리게이트란?
7.4 애그리게이트 선택
7.5 한 애그리게이트 = 한 저장소
7.6 성능은 어떨까?
7.7 버전 번호와 낙관적 동시성
7.8 데이터 무결성 규칙 테스트
7.9 마치며
7.10 1부 돌아보기

[PART II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CHAPTER 8 이벤트와 메시지 버스
8.1 지저분해지지 않게 막기
8.2 단일 책임 원칙
8.3 메시지 버스에 전부 다 싣자
8.4 첫 번째 선택지: 서비스 계층이 모델에서 이벤트를 가져와 메시지 버스에 싣는다
8.5 두 번째 선택지: 서비스 계층은 자신만의 이벤트를 발생한다
8.6 세 번째 선택지: UoW가 메시지 버스에 이벤트를 발행한다
8.7 마치며

CHAPTER 9 메시지 버스를 타고 시내로 나가기
9.1 새로운 아키텍처가 필요한 새로운 요구 사항
9.2 서비스 함수를 메시지 핸들러로 리팩터링하기
9.3 새로운 요구 사항 구현하기
9.4 새 핸들러 시범운영하기
9.5 선택: 가짜 메시지 버스와 독립적으로 이벤트 핸들러 단위 테스트하기
9.6 마치며

CHAPTER 10 커맨드와 커맨드 핸들러
10.1 커맨드와 이벤트
10.2 예외 처리 방식의 차이점
10.3 논의: 이벤트, 커맨드, 오류 처리
10.4 동기적으로 오류 복구하기
10.5 마치며

CHAPTER 11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이벤트를 사용한 마이크로서비스 통합
11.1 분산된 진흙 공, 명사로 생각하기
11.2 분산 시스템에서 오류 처리하기
11.3 대안: 비동기 메시징을 사용한 시간적 결합
11.4 레디스 발행/구독 채널을 통합에 사용하기
11.5 엔드투엔드 테스트를 사용해 모든 기능 시범운영하기
11.6 내부 이벤트와 외부 이벤트 비교
11.7 마치며

CHAPTER 12 명령-질의 책임 분리(CQRS)
12.1 쓰기 위해 존재하는 도메인 모델
12.2 가구를 구매하지 않은 사용자
12.3 Post/리디렉션/Get과 CQS
12.4 점심을 잠깐 미뤄라
12.5 CQRS 뷰 테스트하기
12.6 ‘명확한’ 대안 1: 기존 저장소 사용하기
12.7 읽기 연산에 최적화되지 않은 도메인 모델
12.8 ‘명확한’ 대안 2: ORM 사용하기
12.9 SELECT N+1과 다른 고려 사항
12.10 이제는 상어를 완전히 뛰어 넘을 때이다
12.11 읽기 모델 구현을 변경하기 쉽다
12.12 마치며

CHAPTER 13 의존성 주입(그리고 부트스트래핑)
13.1 암시적 의존성과 명시적 의존성
13.2 명시적 의존성은 완전히 이상하고 자바스러운가?
13.3 핸들러 준비: 클로저와 부분함수를 사용한 수동 DI
13.4 클래스를 사용한 대안
13.5 부트스트랩 스크립트
13.6 실행 도중 핸들러가 제공된 메시지 버스
13.7 진입점에서 부트스트랩 사용하기
13.8 테스트에서 DI 초기화하기
13.9 어댑터 ‘적절히’ 구축하기: 실제 사례
13.10 마치며

CHAPTER 14 맺음말
14.1 왜 지금인가?
14.2 여기서 거기까지 어떻게 갈 수 있을까?
14.3 뒤엉킨 책임 분리
14.4 애그리게이트와 제한된 콘텍스트 식별하기
14.5 스트랭글러 패턴을 통해 마이크로서비스로 전환하는 이벤트 기반 접근 방법
14.6 새로운 일을 시작하도록 이해관계자 설득하기
14.7 기술 리뷰어들의 질문
14.8 풋건
14.9 추가 자료
14.10 마치며

[PART III 부록]

APPENDIX A 정리 다이어그램과 표

APPENDIX B 프로젝트 구조 틀
B.1 환경 변수, 12팩터, 설정, 컨테이너 내부와 외부
B.2 config.py
B.3 docker-compose와 컨테이너 설정
B.4 소스를 패키지로 설치하기
B.5 Dockerfile
B.6 테스트
B.7 마치며

APPENDIX C 인프라 교체: CSV로 모든 데이터 처리하기
C.1 CSV를 사용한 저장소와 작업 단위 구현하기

APPENDIX D 장고에서 작업 단위와 저장소 패턴 사용하기
D.1 장고를 사용한 저장소 패턴
D.2 장고 작업 단위 패턴
D.3 API: 장고 뷰는 어댑터다
D.4 이 모든 게 왜 그렇게 어려웠는가?
D.5 이미 장고 앱을 사용 중이라면
D.6 장고와 함께 진행할 수 있는 단계들

APPENDIX E 검증
E.1 검증이란 무엇인가?
E.2 문법 검증
E.3 포스텔의 법칙과 톨러런트 리더 패턴
E.4 가장자리에서 검증하기
E.5 의미 검증하기
E.6 검증 화용론
배송공지

사용후기

회원리뷰 총 0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 총 0개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방법]
마이페이지> 주문배송조회 > 반품/교환신청 또는 고객센터 (070-4680-5689)로 문의 바랍니다.

[반품주소]
- 도로명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로 62-20 (산남동)
- 지번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305-21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14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단순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양서-판매정가의 12%, ②일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파이썬으로 살펴보는 아키텍처 패턴: TDD, DDD, EDM 적용하기
    파이썬으로 살펴보는
    28,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