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의 자유 : 북윈도
리뷰 0 위시 120

감옥의 자유 요약정보 및 구매

권선옥 시집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지혜
저자 권선옥
ISBN 9791157282081 (1157282083)
정가 9,000원
판매가 8,100원(10% 할인)
배송비 2,500원 (12,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 일부 도서 제외)
포인트 정책 설명문 닫기

00포인트

포인트 정책 설명문 출력

선택된 옵션

관심상품

상품 정보

사은품
상품 기본설명
권선옥 시집
상품 상세설명


권선옥 시집『감옥의 자유』. 시인은 시 속의 '아이러니'나 '역설'의 상황을 통해 오히려 삶의 진실과 시의 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시인은 시의 주제가 반드시 거창할 필요가 없음을 수록된 시들을 통해 잘 보여주었다. 작고 사소하지만 충분히 유의미한 성격을 갖는 시를 통해 비근한 일상에서 남다른 발견을 길어 올리는 능력을 보여준다.

목차
시인의 말t 5

1부 감옥의 자유
적송赤松t12
가죽나무 13
석문石門에서t14
먹골양반 15
묵은 장맛t16
감옥의 자유t17
보석사에서 18
겨울 소나무t19
마음을 베다t20
물이나 되어 21
강 22
낙타 23
마을이 어둠에 묻히면t24

2부 매미 날개
분꽃 26
가을 27
석류꽃 28
어머니 마음t29
매미 날개t30
할머니 31
고추잠자리 32
냄새 33
끈 34
성묘 35
땡감 ―시인 박용래t36
혼자 노는 아이 ―채운역彩雲驛t37
당구장집 곰순이아빠t38

3부 적막한 세상
남원칼 42
마늘씨 43
빨래줄 44
북한산 고사리t45
촌놈 생각 46
논산평야t48
적막한 세상t49
늙은 낙타t50
열쇠 51
사람 52
참사람 53
칼잡이 54
갑사甲寺 동종銅鐘t56
호랑이굴 58

4부 몽당연필
몽당연필 60
싹 61
석문石門스님t62
베개 63
풀매미 64
저절로, 혼자서t65
부여 왕릉원 홍련t66
산은 바다를 낳는다t67
무쇠가마 68
먼지맛 69
너럭바위 70
슬픔 71
가을 사과밭에서t72
사랑, 괜찮아 73
나무는 밤에 자란다 74
가을비 75
땅 76
그때 그 사람t77

5부 그리움에 대하여
봄날 80
홍시 81
조약돌 82
진달래꽃 83
봄밤 84
궁남지 연꽃t85
수선 86
그리움에 대하여t87
식물 같은 사람t88
영등사 89
옛 사랑 그 사람 90
무게 91
편지 92
나무의 밥t93

해설 사랑과 접속하는 역설의 시권 온 96
출판사 서평
나는 너무 갇혀 살았다.
나는 수없이 많은 감옥을 짓고
아내를 가두고 자식들을 가두고
그 안에 나도 갇혀 살았다.
더러는 울을 넘어 헤매고 다녔지만
그 때마다 감옥이 그리워
나는 다시 돌아가곤 했다.
감옥은 나에게 가장 편안한 곳,
그 곳에서 나는
안식을 얻을 수 있었다.
나의 어린 것들도 이젠
감옥 밖에서 편안하지 못하리라.
감옥이 그리워 돌아오리라.
감옥 속에서 나서 자란 아이들은
형벌처럼 감옥을 안고 산다.
그 아늑함, 감옥의 자유를 잊지 못한다.
―「감옥의 자유」 전문 이 시의 시제(詩題)인 ‘감옥의 자유’는 이질적인 속성을 갖는 두 개의 단어 곧 ‘감옥’과 ‘자유’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권선옥은 “죄인을 가두어 두는 곳”을 뜻하는 감옥과 “외부적인 구속이나 무엇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자유를 연결함으로써 부조화의 조화를 노린다.
시의 화자 ‘나’는 “수없이 많은 감옥을 짓고” ‘아내’와 ‘자식들’과 스스로를 가두고 살았다. “더러는 울을 넘어 헤매고 다녔지만”이라는 표현에 나와 있듯이, ‘나’는 ‘감옥’의 구속이나 제한 또는 속박을 벗어나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나’에게 감옥은 “가장 편안한 곳”이자 ‘그리움’과 ‘자유’와 ‘아늑함’으로 기억되는 공간이다.
권선옥 시인이 말하는 ‘감옥’은 자유를 제한하는 곳인 동시에 자유를 생산하는 곳이다. ‘집’이나 ‘가정’이라는 말로 이해할 수도 있는 그곳은 ‘기억’과 ‘추억’과 ‘시간’이 지배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독자의 입장에서는 권선옥의 역설적인 표현인 ‘감옥의 자유’ 앞에서 ‘양가 감정(兩價 感情)’ 또는 ‘모순 감정’을 느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런 ‘아이러니’나 ‘역설’의 상황이 오히려 삶의 진실, 시의 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줄지도 모른다.아침에 면도를 하다가
턱을 벨 때가 있다.
면도기를 죽죽 밀어대다가
뜨끔하게 베고 나서야
번쩍, 정신이 든다.누가 많이 밉거나 서운할 때
마음속에 분노가 도사리고 있을 때
어김없이 내 살을 내가 도린다.
살을 벤 것이 아니라 마음을 벤다.
―「마음을 베다」 전문 시인에게는 비근한 일상에서 남다른 발견을 길어 올리는 능력이 필요하다. 권선옥의 시적 통찰은 시 「마음을 베다」에서 빛을 발한다. 앞에서 살핀 시 「감옥의 자유」에서 보았듯이 시인은 작품의 제목을 정할 때에도 남다른 노력을 기울인다. 이번 작품 역시 범상치 않은 제목이 돋보인다. 이 시가 ‘턱을 베다’나 ‘살을 베다’ 또는 ‘몸을 베다’가 아니라 ‘마음을 베다’라는 이름을 달고 있다는 사실이 긴요하다.
살아가다 보면 타인에게 ‘미움’이나 ‘서운함’ 또는 ‘분노’의 감정을 느끼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식사를 하면서 식사에 집중하지 않고 다른 생각을 하면 사레들리는 확률이 높아진다. 면도를 하다가도 마찬가지이다. 면도를 할 때 면도에 집중하지 않고 누군가를 향한 미움, 서운함, 분노의 감정을 되살린다면 살을 베게 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권선옥은 시의 주제가 반드시 거창할 필요가 없음을 잘 보여주었다. 이 시의 발견은 작고 사소하지만 충분히 유의미한 성격의 것이기 때문이다.나는 낙타를 보지 못했다
그래서 낙타는 밤마다 내게로 온다
등불을 켜 들고 절뚝거리며
모래밭을 지나 자갈길에 피를 칠하며
가끔씩 쓰러졌다 다시 일어나
느리게 느리게 내게로 온다
물항아리에 물을 채우려고
쭈그러진 빈 물통을 들고 온다
물을 채웠다가 갈라진 내 목을 적셔 주려고
잠자는 나를 싹 트게 하려고
바위산을 넘어, 진흙벌판을 건너 온다
짧은 다리 장님 낙타는 쉬지도 않고
더듬더듬 내게로 온다
―「낙타」 전문 이 시의 제목이기도 한 ‘낙타(駱駝)’는 사막(沙漠), 오아시스(oasis) 등과 긴밀하게 어우러지면서 답답한 현실을 뛰어넘는 상상력을 생성한다. “나는 낙타를 보지 못했다”라는 1행에 드러나듯이 시의 화자 ‘나’ 또는 시인 권선옥은 현실에서 ‘낙타’를 본 적이 없다. 중요한 점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낙타’가 ‘나’에게로 온다는 사실이다.
이 시에서 ‘낙타’가 ‘나’에게 오는 행위는 5회 반복된다. 곧 낙타는 2행의 “밤마다 내게로 온다”, 6행의 “느리게 느리게 내게로 온다”, 8행의 “빈 물통을 들고 온다”, 11행의 “바위산을 넘어, 진흙벌판을 건너 온다” 그리고 12행~13행의 “쉬지도 않고/ 더듬더듬 내게로 온다”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쉼 없이 지속적으로 ‘나’에게 다가온다. 특히 2행 들머리에 놓인 부사 ‘그래서’의 역할이 크다. 1행의 ‘~보지 못했다’와 2행의 ‘그래서’의 연결이 대단하다. 부정(否定)이 긍정으로 전환되는 이 대목이야말로 논리로 이해할 수 없는 시의 존재감을 과시한다.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감옥의 자유
저자 권선옥
출판사 지혜
ISBN 9791157282081 (1157282083)
쪽수 112
출간일 2016-10-18
사이즈 131 * 226 * 12 mm /204g
목차 또는 책소개 시인의 말t 5

1부 감옥의 자유
적송赤松t12
가죽나무 13
석문石門에서t14
먹골양반 15
묵은 장맛t16
감옥의 자유t17
보석사에서 18
겨울 소나무t19
마음을 베다t20
물이나 되어 21
강 22
낙타 23
마을이 어둠에 묻히면t24

2부 매미 날개
분꽃 26
가을 27
석류꽃 28
어머니 마음t29
매미 날개t30
할머니 31
고추잠자리 32
냄새 33
끈 34
성묘 35
땡감 ―시인 박용래t36
혼자 노는 아이 ―채운역彩雲驛t37
당구장집 곰순이아빠t38

3부 적막한 세상
남원칼 42
마늘씨 43
빨래줄 44
북한산 고사리t45
촌놈 생각 46
논산평야t48
적막한 세상t49
늙은 낙타t50
열쇠 51
사람 52
참사람 53
칼잡이 54
갑사甲寺 동종銅鐘t56
호랑이굴 58

4부 몽당연필
몽당연필 60
싹 61
석문石門스님t62
베개 63
풀매미 64
저절로, 혼자서t65
부여 왕릉원 홍련t66
산은 바다를 낳는다t67
무쇠가마 68
먼지맛 69
너럭바위 70
슬픔 71
가을 사과밭에서t72
사랑, 괜찮아 73
나무는 밤에 자란다 74
가을비 75
땅 76
그때 그 사람t77

5부 그리움에 대하여
봄날 80
홍시 81
조약돌 82
진달래꽃 83
봄밤 84
궁남지 연꽃t85
수선 86
그리움에 대하여t87
식물 같은 사람t88
영등사 89
옛 사랑 그 사람 90
무게 91
편지 92
나무의 밥t93

해설 사랑과 접속하는 역설의 시권 온 96
배송공지

사용후기

회원리뷰 총 0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 총 0개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방법]
마이페이지> 주문배송조회 > 반품/교환신청 또는 고객센터 (070-4680-5689)로 문의 바랍니다.

[반품주소]
- 도로명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로 62-20 (산남동)
- 지번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305-21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14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단순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양서-판매정가의 12%, ②일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감옥의 자유
    감옥의 자유
    8,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