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전기차(xEV) 충전인프라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 북윈도
리뷰 0 위시 120

국내외 전기차(xEV) 충전인프라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요약정보 및 구매

순수전기차(BEV)ㆍ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ㆍ | 수소연료전지차(FCEV)ㆍ충전인프라 中心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IRS Global
저자 편집부
ISBN 9788998207687 (8998207680)
정가 390,000원
판매가 351,000원(10% 할인)
배송비 무료배송
포인트 정책 설명문 닫기

00포인트

포인트 정책 설명문 출력

선택된 옵션

관심상품

상품 정보

사은품
상품 기본설명
순수전기차(BEV)ㆍ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ㆍ | 수소연료전지차(FCEV)ㆍ충전인프라 中心
상품 상세설명




목차
Ⅰ. 국내외 전기차(xEV) 분야별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국내외 연비규제 기준 및 정책 동향
1-1. 기후변화와 전기차(EV)
1) 운수 부문에서의 CO₂ 배출과 파리 협정
2) EV의 에너지 소비와 CO₂ 배출
1-2. 글로벌 연비 규제 관련 동향
1) 주요국 연비와 CO₂배출 규제
(1) EU
(2) 미국
(3) 중국
(4) 일본
2) 국내 연비 기준 및 정책 동향
(1) 주요 연비ㆍ배출가스 정책
(2) 자동차 평균에너지소비효율기준 및 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

2. 국내외 친환경차 시장전망 및 정책추진 동향
2-1. 친환경차 개황
1) 친환경차 등장 배경과 성장 동인
2) 친환경차 시스템 개요
(1)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3) 순수전기자동차(BEV)
(4) 수소연료전지차(FCEV)
2-2. 국내외 친환경차 시장규모 및 전망
1) 글로벌 시장 동향과 전망
(1) 주요국별 시장규모
(2) 상용차 EV화
(3) 세계 완성차 업체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과 전망
2-3. 주요국별 친환경차 지원 정책 및 정부 차원의 전략
1) 중국
(1) 환경 보호 대책인 NEV 규제
(2) 2019년부터 실시될 NEV 규제의 내용
(3) 승용차 기업의 NEV 크레딧 관리 변법
(4) 중앙 정부의 보조금 정책
(5) 북경의 NEV에 대한 우대 정책
2) 미국
(1) PHEV 촉진 정책
(2) BEV 지원 현황
3) 유럽
(1) EU 동향
(2) 노르웨이 동향
(3) 독일 동향
(4) 영국 동향
(5) 프랑스 동향
(6) 네덜란드 동향
4) 일본
(1) 친환경차 보급 전략인‘자동차산업 전략 2014’
(2) 친환경차 보급을 위한 자동차 세제
5) 인도
(1) 전기차(xEV) 정책 현황
(2) 전기차(xEV) 정책 과제
6) 한국
(1) 보급 및 지원현황
(2) 그간의 추진 성과
(3) 기본 정책 방향
(4) 세부 추진 방향
(5) 주요 추진 과제
(6) 전기차 보조금

3. 국내외 주요 전기차별 시장전망과 개발동향
3-1.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의 기술 개요
(1) 개념 및 구조
(2) 분류
(3) 구동 원리
(4) 특징
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시장동향과 전망
(1) 글로벌 등장 배경과 시장 전망
(2) 연도별/모델별 판매 동향
(3) 주요 국가별 판매 동향
(4) 국내 시장 규모 및 판매 동향
3-2. 순수전기차(BEV)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순수전기차(BEV) 개황
(1) 순수전기차(BEV) 개발 이력
(2) 순수전기차(BEV) 개발 동향
2) 글로벌 순수전기차(BEV) 시장동향과 전망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주요 지역별 판매 규모 및 동향
(3) 연도별/모델별 판매 동향
(4) 주요 국가별 판매 및 최신 동향
3) 중국 시장의 주요 이슈
(1) 중국 정부의 신규 투자 유치
(2) EU의 연비 규제와 비슷한 중국의 NEV 규제
(3) NEV로‘자동차 강국’구축
4) 국내 순수전기차(BEV) 시장동향과 전망
(1) 시장 규모와 전망
(2) 업체별ㆍ모델별 판매 동향
(3) 지자체별 전기차 보급 동향
5) 전기차(xEV) 부품별 서플라이 체인과 경쟁 동향
(1) 에너지 저장ㆍ관리 시스템
(2) 전력변환장치
(3) 열관리ㆍ공조시스템
(4) 고출력 전동기
6) 주요업체별 전기차 로드맵
(1) 볼보
(2)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3) BMW
(4) 폭스바겐
(5) 다임러
(6) 도요타
(7) 포드
(8) GM
(9) 포르쉐
(10) JLR
(11) 현대ㆍ기아
7) 주요 업체ㆍ모델별 개발 동향
(1) Nissan
(2) Tasla
(3) BMW
(4) BYD
(5) Volkswagen
(6) AUDI
(7) HONDA
(8) Toyota
8) 주요업체별 (EV X SUV) 대응 전략
(1) 테슬라 : 'Model 3' 기반의 ‘Model Y’
(2) 닛산 : 일본풍의 심플한 디자인 ‘IMx’(EV 크로스 오버 SUV)
(3) 메르세데스 벤츠 : 제너레이션 EQ가 원형인 ‘EQ C’
(4) 아우디 : 솔라 패널 일체형 ‘e-tron 콰트로’
(5) 재규어 : 포뮬러E의 레이싱 카 기술 채용 ‘I-PACE’
(6) 폭스바겐 : 2종 SUV 개발 ‘I.D.Crozz’
(7) 혼다 : 중국 시장 전용 ‘이념(理念) EX 콘셉트’
(8) GM : ‘뷰익 엔스파이어(Buick Enspire EV)’
(9) 현대차 : 한번 충전에 400km 주행 ‘코나 EV’
(10) 기아차 : ‘니로 EV’
9) 초소형 전기차 분야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초소형 전기차 등장 배경
(2) 초소형 전기자동차 개발 동향
(3) 국내외 초소형 전기차 시장 동향 및 전망
(4) 주요 초소형 전기차 제품 동향 분석
10) 전기버스 시장 및 개발 동향
(1) 글로벌 시장 동향
(2) 중국 시장 동향
(3) 국내 시장 동향
11) EV 소재 동향
(1) 철과 알루미늄의 경쟁
(2) 구리 수요
3-3. 수소연료전지차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수소연료전지차(FCEV)의 기술 개요
(1) 개념
(2) 분류
(3) 구조
(4) 구동원리
(5) 특징 및 장단점
2) 수소연료전지차(FCEV)의 시장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시장 동향과 전망
(2) 주요국의 수소연료전지차 경쟁
(3) 국내 시장 동향과 전망
(4) 수소연료전지차(FCEV)와 순수전기차(BEV) 비교
3) 주요 모델별 수소연료전지차 개발 동향
(1) Hyundai ? TUCSON ix Fuel Cell
(2) Hyundai ? NEXO
(3) Toyota ? MIRAI
(4) Honda - Clarity
(5) Audi - h-트론 콰트로 콘셉트
(6) Toyota ? TOYOTA Fine Comfort Ride
4) 국내외 수소충전소 구축 동향
(1) 수소충전소 개요
(2) 글로벌 수소충전소 동향
(3) 국내 수소충전소 동향
5) 주요국별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지원 정책 동향
(1) 일본
(2) 미국
(3) 독일
(4) 영국
(5) 프랑스
(6) 중국
(7) 한국
3-4. 전기차(xEV)용 배터리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리튬 이차전지 기술 개요
(1) 개념
(2) 원리 및 구조
2)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1) 글로벌 시장규모와 판매동향
(2) 주요 업체별 시장점유율
(3) 중국 전지 시장
(4) 미국 시장
(5) EV 전지 밸류 체인
3) EV용 전지 관련 금속자원의 최근 동향
(1) 니켈 수요 및 공급 동향
(2) 코발트 수요 및 공급 동향
(3) 리튬 수요 및 공급 동향
(4) 흑연 매장량, 생산량, 공급량 추이
(5) 실리콘 생산량 추이
4) 전기차(xEV) 보급 활성화를 위한 향후 과제
(1) 부족한 천연자원 환경에서 배터리 생산
(2) 배터리의 재활용 및 재사용
(3) CO2 배출량 : BEV와 ICEV

4. 2030년 전기차 시장 전망
4-1. EV化가 가져올 변화
1) EV 시장의 확대
2) 자동차의 구조 변화
3) 자동차 산업의 구조 변화
4-2. 지역별 전기차 시장 전망
1) 중국
2) 유럽
3) 미국
4) 일본
4-3. 2030년 전기차 시장 전망
4-4. EV화가 관련 업계에 미치는 영향
1) 자동차부품 업계에 미치는 영향
2) 에너지 업계에 미치는 영향
(1) 재생 에너지 도입에 따른 전력 업계의 과제
(2) 차량탑재 전지를 활용한 조정력 전원
(3) 차량탑재 전지의 재활용
(4) 자동차 업계와 전력 업계의 관계 구축
3) 통신 업계에 미치는 영향
1) EV + IoT에 의한 서비스 기회
(2) 충전 + IoT에 의한 서비스 기회

Ⅱ. 국내외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기술 개요
1-1. 구성
1) 전력공급설비
2) 충전기
3) 인터페이스
4) 충전정보시스템
1-2. 전력공급설비
1) 전력공급 방식에 따른 분류
2) 인입구 배선
3) 분전반
(1) 누전차단기
(2) 배선용차단기
4) 전기계기
1-3. 충전기 분류
1) 충전 속도
2) 설치 유형
3) 충전 방식
4) 전기차 차종별 충전방식
1-4. 충전정보시스템
1-5. 충전요금

2. 국내외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시장 동향 및 전망
2-1. 해외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시장 동향 및 전망
1)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시장 규모 및 전망
(1) 주요 지역별 충전인프라 보급 현황과 전망
(2) 급속충전기ㆍ완속충전기(개인용)의 보급 현황
(3) 무선충전시스템의 보급 현황
(4) 배터리 교환 시스템의 보급 현황
2-2. 주요국별 시장 및 정책 동향
1) 중국
(1) 충전인프라 관련 정책
(2) 충전 네트워크 운영 사업
2) 유럽
(1) 충전인프라 확대
(2) 전기 설비에 대한 영향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3) 노르웨이
4) 네덜란드
(1) 정부 보조금
(2) 충전소 지역사업 및 프로젝트
5) 미국
6) 일본
2-3. 국내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시장 동향 및 전망
1)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보급 동향 및 전망
(1) 보급 동향
(2) 보조금 지원 동향 (2018년)
(3) 국내 출시중인 충전기
2) 국내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관련 최근 이슈
(1) 초급속 충전기 보급
(2) 충전 공동이용(로밍) 서비스
(3) EV 충전기의 핵심 부품 중국산 비중
(4) 복합형 충ㆍ방전 시스템
(5) 블록체인 전기차 충전소
(6) 충전 로봇
(7) 셀프 충전
2-4. 전기차용 무선충전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무선충전의 기술 개요
(1) 원리
(2) 분류
(3) 대전력 무선충전 개발 동향
2)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3) 주요업체별 개발 및 출시 사례 분석
(1) 콘티넨탈
(2) BMW
(3) 퀄컴
(4) 현대ㆍ기아차
(5) 다이헨
(6) IHI
(7) 스텐퍼드대학
4) 표준화 경쟁 동향
(1) 최근 동향
(2) 주파수 표준

3. 전기차 충전인프라 관련 표준화 동향
3-1. 글로벌 표준화 동향
1) 세계 주요 지역별 충전 방식
2) 표준화 경쟁 구도
3) 일본 차데모와 중국 급속충전규격 공동 개발 합의
3-2. 국내 표준화 동향
1) 충전방식 일원화
2) 전기자동차 충전기 관련 표준
(1) 완속충전기
(2) 급속충전기
(3) 단말 장치(공용충전기의 경우에 한함)

Ⅲ. 참고 자료

1. 주요 전기차(xEV) 모델별 스펙 (227종)

2. 국내 전기차 충전기
2-1. 공용 충전기 (60종)
2-2. 비공용 충전기 (34종)
출판사 서평
세계 자동차 판매에서 전기차(xEV)가 차지하는 비율은 앞으로 급속도로 증가할 것이다.2038년에는 전 세계 신차 판매 대수의 50% 이상이 전기차(xEV)가 될 것이며, 이후 2050년의 비중은 약 90%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2018년 상반기 세계 전기차(BEV, PHEV) 판매 실적은 약 75.8만 대로, 신차 대비 점유율이 1.6%로 나타나고 있다.)현재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은 화석연료만을 사용하던 내연기관(ICE) 자동차에서 점차 전기차(EV)로 바뀌어 가고 있고, 전기차는 기술의 발전과 인프라의 보급에 따라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 순수 전기차(BEV)로 점차 발전하고 있다. 이에 각국 정부들도 이미 전기차(xEV) 보급 목표를 수립하고 보조금 지급, 충전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기에 전기차(xEV) 시장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또한, EV는 차체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사용되는 부품의 수가 크게 감소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는 부품이 많아서 조립하기 어려우며, 부품을 제조하는 계열 회사 간의 조화가 매우 중요했다. 이것은 새롭게 사업을 시작하고자 하는 기업에 있어 매우 큰 장벽으로 작용하였다.
반면, 부품이 적은 EV(전기차)에 대해서는 진입 장벽이 낮기 때문에, 높은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 사업을 시작하기에 상대적으로 용이하다.이러한 변화는 자동차 산업의 전반적인 구조 변화로도 이어지게 될 것이다. 위 설명처럼 차체 구조가 심플해짐으로써, 자동차를 완성하는 기업을 정점으로 두고 그 아래에 계열회사들로 이루어져 있던 기존 산업 구조의 중요성이 감소하여, 혁신적인 기술이나 제품을 가진 기업이 새롭게 서플라이 체인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한편, 수소연료전지차도 상용화되기엔 수소탱크의 위험성, 미흡한 인프라 등의 선결과제가 많지만, 향후 친환경차 주도권 경쟁이 하이브리드→전기차→수소연료전지차 순으로 진행되어, 수소차가 친환경차의 최종 목적지라는 점에는 그다지 이견이 많지 않다.
이에, 수소차 주도권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이미 합종연횡에 나서고 있다. BMW는 도요타와 수소차 기술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고, GM은 혼다와 수소전기차 엔지니어링팀을 통합하였고,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수소차를 완성한 현대기아차도 수소차의 핵심인 연료전지 기술 개발과 특허 및 주요 부품을 공유하기 위하여 아우디와 연합전선을 구축하며 치열한 수소차 경쟁에 대응하고 있다.
IHS 자료에 따르면, 2018년 2월 기준 글로벌 수소연료전지차 판매현황은 유럽에 716대, 북미에 4215대, 아시아에 2874대로 총 7805대가 판매되고 있다. 이에, IRS글로벌은 전기차(xEV) 관련 산업에 관심이 있는 기관ㆍ업체의 실무담당자들에게 연구개발, 사업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서를 기획하였다.본서는 서두에서 우선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세부적으로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ㆍ순수전기차(BEV)ㆍ수소연료전지차(FCEV) 각각 분야의 시장 동향과 전망, 국내외 개발 현황을 면밀히 정리ㆍ분석하였다. 이어서 전기차(xEV) 활성화를 위한 주요국들의 정부 지원 정책과 주요 모델 분석, 국내외 주요 업체별 로드맵뿐만 아니라 충전인프라 분야의 시장동향과 전망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전기차(xEV)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2018년 10월 12일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국내외 전기차(xEV) 충전인프라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저자 편집부
출판사 IRS Global
ISBN 9788998207687 (8998207680)
쪽수 579
출간일 2018-10-12
사이즈 207 * 292 * 41 mm /1901g
목차 또는 책소개 Ⅰ. 국내외 전기차(xEV) 분야별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국내외 연비규제 기준 및 정책 동향
1-1. 기후변화와 전기차(EV)
1) 운수 부문에서의 CO₂ 배출과 파리 협정
2) EV의 에너지 소비와 CO₂ 배출
1-2. 글로벌 연비 규제 관련 동향
1) 주요국 연비와 CO₂배출 규제
(1) EU
(2) 미국
(3) 중국
(4) 일본
2) 국내 연비 기준 및 정책 동향
(1) 주요 연비ㆍ배출가스 정책
(2) 자동차 평균에너지소비효율기준 및 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

2. 국내외 친환경차 시장전망 및 정책추진 동향
2-1. 친환경차 개황
1) 친환경차 등장 배경과 성장 동인
2) 친환경차 시스템 개요
(1)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3) 순수전기자동차(BEV)
(4) 수소연료전지차(FCEV)
2-2. 국내외 친환경차 시장규모 및 전망
1) 글로벌 시장 동향과 전망
(1) 주요국별 시장규모
(2) 상용차 EV화
(3) 세계 완성차 업체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과 전망
2-3. 주요국별 친환경차 지원 정책 및 정부 차원의 전략
1) 중국
(1) 환경 보호 대책인 NEV 규제
(2) 2019년부터 실시될 NEV 규제의 내용
(3) 승용차 기업의 NEV 크레딧 관리 변법
(4) 중앙 정부의 보조금 정책
(5) 북경의 NEV에 대한 우대 정책
2) 미국
(1) PHEV 촉진 정책
(2) BEV 지원 현황
3) 유럽
(1) EU 동향
(2) 노르웨이 동향
(3) 독일 동향
(4) 영국 동향
(5) 프랑스 동향
(6) 네덜란드 동향
4) 일본
(1) 친환경차 보급 전략인‘자동차산업 전략 2014’
(2) 친환경차 보급을 위한 자동차 세제
5) 인도
(1) 전기차(xEV) 정책 현황
(2) 전기차(xEV) 정책 과제
6) 한국
(1) 보급 및 지원현황
(2) 그간의 추진 성과
(3) 기본 정책 방향
(4) 세부 추진 방향
(5) 주요 추진 과제
(6) 전기차 보조금

3. 국내외 주요 전기차별 시장전망과 개발동향
3-1.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의 기술 개요
(1) 개념 및 구조
(2) 분류
(3) 구동 원리
(4) 특징
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시장동향과 전망
(1) 글로벌 등장 배경과 시장 전망
(2) 연도별/모델별 판매 동향
(3) 주요 국가별 판매 동향
(4) 국내 시장 규모 및 판매 동향
3-2. 순수전기차(BEV)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순수전기차(BEV) 개황
(1) 순수전기차(BEV) 개발 이력
(2) 순수전기차(BEV) 개발 동향
2) 글로벌 순수전기차(BEV) 시장동향과 전망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주요 지역별 판매 규모 및 동향
(3) 연도별/모델별 판매 동향
(4) 주요 국가별 판매 및 최신 동향
3) 중국 시장의 주요 이슈
(1) 중국 정부의 신규 투자 유치
(2) EU의 연비 규제와 비슷한 중국의 NEV 규제
(3) NEV로‘자동차 강국’구축
4) 국내 순수전기차(BEV) 시장동향과 전망
(1) 시장 규모와 전망
(2) 업체별ㆍ모델별 판매 동향
(3) 지자체별 전기차 보급 동향
5) 전기차(xEV) 부품별 서플라이 체인과 경쟁 동향
(1) 에너지 저장ㆍ관리 시스템
(2) 전력변환장치
(3) 열관리ㆍ공조시스템
(4) 고출력 전동기
6) 주요업체별 전기차 로드맵
(1) 볼보
(2)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3) BMW
(4) 폭스바겐
(5) 다임러
(6) 도요타
(7) 포드
(8) GM
(9) 포르쉐
(10) JLR
(11) 현대ㆍ기아
7) 주요 업체ㆍ모델별 개발 동향
(1) Nissan
(2) Tasla
(3) BMW
(4) BYD
(5) Volkswagen
(6) AUDI
(7) HONDA
(8) Toyota
8) 주요업체별 (EV X SUV) 대응 전략
(1) 테슬라 : 'Model 3' 기반의 ‘Model Y’
(2) 닛산 : 일본풍의 심플한 디자인 ‘IMx’(EV 크로스 오버 SUV)
(3) 메르세데스 벤츠 : 제너레이션 EQ가 원형인 ‘EQ C’
(4) 아우디 : 솔라 패널 일체형 ‘e-tron 콰트로’
(5) 재규어 : 포뮬러E의 레이싱 카 기술 채용 ‘I-PACE’
(6) 폭스바겐 : 2종 SUV 개발 ‘I.D.Crozz’
(7) 혼다 : 중국 시장 전용 ‘이념(理念) EX 콘셉트’
(8) GM : ‘뷰익 엔스파이어(Buick Enspire EV)’
(9) 현대차 : 한번 충전에 400km 주행 ‘코나 EV’
(10) 기아차 : ‘니로 EV’
9) 초소형 전기차 분야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초소형 전기차 등장 배경
(2) 초소형 전기자동차 개발 동향
(3) 국내외 초소형 전기차 시장 동향 및 전망
(4) 주요 초소형 전기차 제품 동향 분석
10) 전기버스 시장 및 개발 동향
(1) 글로벌 시장 동향
(2) 중국 시장 동향
(3) 국내 시장 동향
11) EV 소재 동향
(1) 철과 알루미늄의 경쟁
(2) 구리 수요
3-3. 수소연료전지차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수소연료전지차(FCEV)의 기술 개요
(1) 개념
(2) 분류
(3) 구조
(4) 구동원리
(5) 특징 및 장단점
2) 수소연료전지차(FCEV)의 시장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시장 동향과 전망
(2) 주요국의 수소연료전지차 경쟁
(3) 국내 시장 동향과 전망
(4) 수소연료전지차(FCEV)와 순수전기차(BEV) 비교
3) 주요 모델별 수소연료전지차 개발 동향
(1) Hyundai ? TUCSON ix Fuel Cell
(2) Hyundai ? NEXO
(3) Toyota ? MIRAI
(4) Honda - Clarity
(5) Audi - h-트론 콰트로 콘셉트
(6) Toyota ? TOYOTA Fine Comfort Ride
4) 국내외 수소충전소 구축 동향
(1) 수소충전소 개요
(2) 글로벌 수소충전소 동향
(3) 국내 수소충전소 동향
5) 주요국별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지원 정책 동향
(1) 일본
(2) 미국
(3) 독일
(4) 영국
(5) 프랑스
(6) 중국
(7) 한국
3-4. 전기차(xEV)용 배터리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리튬 이차전지 기술 개요
(1) 개념
(2) 원리 및 구조
2)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1) 글로벌 시장규모와 판매동향
(2) 주요 업체별 시장점유율
(3) 중국 전지 시장
(4) 미국 시장
(5) EV 전지 밸류 체인
3) EV용 전지 관련 금속자원의 최근 동향
(1) 니켈 수요 및 공급 동향
(2) 코발트 수요 및 공급 동향
(3) 리튬 수요 및 공급 동향
(4) 흑연 매장량, 생산량, 공급량 추이
(5) 실리콘 생산량 추이
4) 전기차(xEV) 보급 활성화를 위한 향후 과제
(1) 부족한 천연자원 환경에서 배터리 생산
(2) 배터리의 재활용 및 재사용
(3) CO2 배출량 : BEV와 ICEV

4. 2030년 전기차 시장 전망
4-1. EV化가 가져올 변화
1) EV 시장의 확대
2) 자동차의 구조 변화
3) 자동차 산업의 구조 변화
4-2. 지역별 전기차 시장 전망
1) 중국
2) 유럽
3) 미국
4) 일본
4-3. 2030년 전기차 시장 전망
4-4. EV화가 관련 업계에 미치는 영향
1) 자동차부품 업계에 미치는 영향
2) 에너지 업계에 미치는 영향
(1) 재생 에너지 도입에 따른 전력 업계의 과제
(2) 차량탑재 전지를 활용한 조정력 전원
(3) 차량탑재 전지의 재활용
(4) 자동차 업계와 전력 업계의 관계 구축
3) 통신 업계에 미치는 영향
1) EV + IoT에 의한 서비스 기회
(2) 충전 + IoT에 의한 서비스 기회

Ⅱ. 국내외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기술 개요
1-1. 구성
1) 전력공급설비
2) 충전기
3) 인터페이스
4) 충전정보시스템
1-2. 전력공급설비
1) 전력공급 방식에 따른 분류
2) 인입구 배선
3) 분전반
(1) 누전차단기
(2) 배선용차단기
4) 전기계기
1-3. 충전기 분류
1) 충전 속도
2) 설치 유형
3) 충전 방식
4) 전기차 차종별 충전방식
1-4. 충전정보시스템
1-5. 충전요금

2. 국내외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시장 동향 및 전망
2-1. 해외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시장 동향 및 전망
1)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시장 규모 및 전망
(1) 주요 지역별 충전인프라 보급 현황과 전망
(2) 급속충전기ㆍ완속충전기(개인용)의 보급 현황
(3) 무선충전시스템의 보급 현황
(4) 배터리 교환 시스템의 보급 현황
2-2. 주요국별 시장 및 정책 동향
1) 중국
(1) 충전인프라 관련 정책
(2) 충전 네트워크 운영 사업
2) 유럽
(1) 충전인프라 확대
(2) 전기 설비에 대한 영향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3) 노르웨이
4) 네덜란드
(1) 정부 보조금
(2) 충전소 지역사업 및 프로젝트
5) 미국
6) 일본
2-3. 국내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시장 동향 및 전망
1)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보급 동향 및 전망
(1) 보급 동향
(2) 보조금 지원 동향 (2018년)
(3) 국내 출시중인 충전기
2) 국내 전기차용 충전인프라 관련 최근 이슈
(1) 초급속 충전기 보급
(2) 충전 공동이용(로밍) 서비스
(3) EV 충전기의 핵심 부품 중국산 비중
(4) 복합형 충ㆍ방전 시스템
(5) 블록체인 전기차 충전소
(6) 충전 로봇
(7) 셀프 충전
2-4. 전기차용 무선충전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1) 무선충전의 기술 개요
(1) 원리
(2) 분류
(3) 대전력 무선충전 개발 동향
2)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3) 주요업체별 개발 및 출시 사례 분석
(1) 콘티넨탈
(2) BMW
(3) 퀄컴
(4) 현대ㆍ기아차
(5) 다이헨
(6) IHI
(7) 스텐퍼드대학
4) 표준화 경쟁 동향
(1) 최근 동향
(2) 주파수 표준

3. 전기차 충전인프라 관련 표준화 동향
3-1. 글로벌 표준화 동향
1) 세계 주요 지역별 충전 방식
2) 표준화 경쟁 구도
3) 일본 차데모와 중국 급속충전규격 공동 개발 합의
3-2. 국내 표준화 동향
1) 충전방식 일원화
2) 전기자동차 충전기 관련 표준
(1) 완속충전기
(2) 급속충전기
(3) 단말 장치(공용충전기의 경우에 한함)

Ⅲ. 참고 자료

1. 주요 전기차(xEV) 모델별 스펙 (227종)

2. 국내 전기차 충전기
2-1. 공용 충전기 (60종)
2-2. 비공용 충전기 (34종)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상품페이지 참고
저자 상품페이지 참고
출판사 상품페이지 참고
크기 상품페이지 참고
쪽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상품페이지 참고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배송공지

사용후기

회원리뷰 총 0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 총 0개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방법]
마이페이지> 주문배송조회 > 반품/교환신청 또는 고객센터 (070-4680-5689)로 문의 바랍니다.

[반품주소]
- 도로명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로 62-20 (산남동)
- 지번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305-21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14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단순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양서-판매정가의 12%, ②일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국내외 전기차(xEV) 충전인프라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국내외 전기차(xE
    35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