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빨리 만나는 도커(Docker) : 북윈도
리뷰 0 위시 120

가장 빨리 만나는 도커(Docker)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길벗
저자 이재홍
ISBN 9788966188383 (8966188389)
정가 26,000원
판매가 23,400원(10% 할인)
배송비 무료배송
포인트 정책 설명문 닫기

00포인트

포인트 정책 설명문 출력

선택된 옵션

관심상품

상품 정보

사은품
상품 상세설명


클라우드 플랫폼 어디서나 빠르게 배포하고 실행할 수 있는 리눅스 기반 경량화 컨테이너 [가장 빨리 만나는 도커(Docker)]. Docker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안전한 런타임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하이퍼바이저가 CPU, RAM, 스토리지 같은 하드웨어를 전부 추상화했다면, Docker는 운영체제 커널만 추상화했다. Docker 기반 배포를 구현하면 개발, 테스트, 서비스 단계의 시스템 불일치나 호환성 문제를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장 ▶ Docker
__1.1 가상 머신과 Docker
____1.1.1 가상 머신
____1.1.2 Docker
____1.1.3 리눅스 컨테이너
__1.2 Docker 이미지와 컨테이너
2장 ▶ Docker 설치하기
__2.1 리눅스
____2.1.1 자동 설치 스크립트
____2.1.2 우분투
____2.1.3 RedHat Enterprise Linux, CentOS
____2.1.4 최신 바이너리 사용하기
__2.2 Mac OS X
__2.3 Windows
3장 ▶ Docker 사용해보기
__3.1 search 명령으로 이미지 검색하기
__3.2 pull 명령으로 이미지 받기
__3.3 images 명령으로 이미지 목록 출력하기
__3.4 run 명령으로 컨테이너 생성하기
__3.5 ps 명령으로 컨테이너 목록 확인하기
__3.6 start 명령으로 컨테이너 시작하기
__3.7 restart 명령으로 컨테이너 재시작하기
__3.8 attach 명령으로 컨테이너에 접속하기
__3.9 exec 명령으로 외부에서 컨테이너 안의 명령 실행하기
__3.10 stop 명령으로 컨테이너 정지하기
__3.11 rm 명령으로 컨테이너 삭제하기
__3.12 rmi 명령으로 이미지
4장 ▶ Docker 이미지 생성하기
__4.1 Bash 익히기
__4.2 Dockerfile 작성하기
__4.3 build 명령으로 이미지 생성하기
5장 ▶ Docker 살펴보기
__5.1 history 명령으로 이미지 히스토리 살펴보기
__5.2 cp 명령으로 파일 꺼내기
__5.3 commit 명령으로 컨테이너의 변경사항을 이미지로 생성하기
__5.4 diff 명령으로 컨테이너에서 변경된 파일 확인하기
__5.5 inspect 명령으로 세부 정보 확인하기
6장 ▶ Docker 좀 더 활용하기
__6.1 Docker 개인 저장소 구축하기
____6.1.1 로컬에 이미지 데이터 저장
____6.1.2 push 명령으로 이미지 올리기
____6.1.3 Amazon S3에 이미지 데이터 저장
____6.1.4 기본 인증 사용하기
__6.2 Docker 컨테이너 연결하기
__6.3 다른 서버의 Docker 컨테이너에 연결하기
__6.4 Docker 데이터 볼륨 사용하기
__6.5 Docker 데이터 볼륨 컨테이너 사용하기
__6.6 Docker 베이스 이미지 생성하기
____6.6.1 우분투 베이스 이미지 생성하기
____6.6.2 CentOS 베이스 이미지 생성하기
____6.6.3 빈 베이스 이미지 생성하기
__6.7 Docker 안에서 Docker 실행하기
7장 ▶ Dockerfile 자세히 알아보기
__7.1 .dockerignore
__7.2 FROM
__7.3 MAINTAINER
__7.4 RUN
__7.5 CMD
__7.6 ENTRYPOINT
__7.7 EXPOSE
__7.8 ENV
__7.9 ADD
__7.10 COPY
__7.11 VOLUME
__7.12 USER
__7.13 WORKDIR
__7.14 ONBUILD
8장 ▶ Docker로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__8.1 서버 한 대에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____8.1.1 개발자 PC에서 Git 설치 및 저장소 생성하기
____8.1.2 개발자 PC에서 Node.js로 웹 서버 작성하기
____8.1.3 개발자 PC에서 Dockerfile 작성하기
____8.1.4 개발자 PC에서 SSH 키 생성하기
____8.1.5 서버에 Git 설치 및 저장소 생성하기
____8.1.6 서버에 Docker 설치하기
____8.1.7 서버에 SSH 키 설정하기
____8.1.8 서버에 Git Hook 설정하기
____8.1.9 개발자 PC에서 소스 Push하기
__8.2 서버 여러 대에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____8.2.1 개발자 PC에서 Git 설치 및 저장소 생성하기
____8.2.2 개발자 PC에서 Node.js로 웹 서버 작성하기
____8.2.3 개발자 PC에서 Dockerfile 작성하기
____8.2.4 개발자 PC에서 SSH 키 생성하기
____8.2.5 배포 서버에 Git 설치 및 저장소 생성하기
____8.2.6 배포 서버에서 SSH 키 생성하기
____8.2.7 배포 서버에 Docker 설치하기
____8.2.8 배포 서버에 Docker 레지스트리 서버 설정하기
____8.2.9 배포 서버에 SSH 키 설정하기
____8.2.10 배포 서버에 Git Hook 설정하기
____8.2.11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Docker 설치하기
____8.2.12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SSH 키 설정하기
____8.2.13 개발자 PC에서 소스 Push
9장 ▶ Docker 모니터링하기
__9.1 모니터링 서버 Dockerfile 작성하기
__9.2 애플리케이션 서버 Dockerfile 작성
__9.3 웹 브라우저에서 그래프 확인
10장 ▶ Amazon Web Services에서 Docker 사용하기
__10.1 Amazon EC2에서 Docker 사용하기
__10.2 AWS Elastic Beanstalk에서 Docker 사용하기
____10.2.1 AWS 콘솔에서 Docker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____10.2.2 Docker Hub 공개 저장소 이미지 사용하기
____10.2.3 Docker Hub 개인 저장소 이미지 사용하기
____10.2.4 Git으로 Elastic Beanstalk Docker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11장 ▶ Google Cloud Platform에서 Docker 사용하기
__11.1 Google Cloud SDK 설정하기
__11.2 Compute Engine에서 Docker 사용하기
__11.3 Container Engine에서 Docker 사용하기
12장 ▶ Microsoft Azure에서 Docker 사용하기
13장 ▶ Docker Hub 사용하기
__13.1 Docker Hub 가입하기
__13.2 push 명령으로 이미지 올리기
__13.3 Docker Hub 개인 저장소 생성하기
__13.4 Docker Hub Automated Build 활용하기
14장 ▶ Docker Remote API 사용하기
__14.1 Docker Remote API Python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____14.1.1 컨테이너 생성 및 시작하기
____14.1.2 이미지 생성하기
____14.1.3 컨테이너 목록 출력하기
____14.1.4 이미지 목록 출력하기
____14.1.5 기타 예제 및 함수
__14.2 Docker Remote API Python 라이브러리로 HTTPS 통신하기
____14.2.1 인증서 생성하기
____14.2.2 Python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15장 ▶ CoreOS 사용하기
__15.1 VirtualBox에 CoreOS 설치하기
____15.1.1 systemd로 서비스 실행하기
__15.2 Vagrant로 CoreOS 설치하기
__15.3 etcd 사용하기
____15.3.1 etcd 키, 디렉터리 생성하기
____15.3.2 etcd 키, 디렉터리 목록 출력하기
____15.3.3 etcd 키, 디렉터리 자동 삭제 설정하기
____15.3.4 etcd 키 감시하기
____15.3.5 etcd 기타 명령
__15.4 fleet 사용하기
____15.4.1 fleet 머신 목록 출력하기
____15.4.2 fleet으로 유닛 실행하기
____15.4.3 fleet 유닛 목록 출력하기
____15.4.4 fleet 유닛 상태 확인하기
____15.4.5 fleet 자동 복구 확인하기
____15.4.6 fleet 전용 옵션 사용하기
____15.4.7 fleet 유닛 파일 템플릿 활용하기
____15.4.8 fleet 사이드킥 모델 활용하기
____15.4.9 fleet 기타 명령
__15.5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CoreOS 사용하기
____15.5.1 Amazon EC2에서 CoreOS 사용하기
____15.5.2 Google Compute Engine에서 CoreOS 사용하기
16장 ▶ Docker로 워드프레스 블로그 구축하기
__16.1 워드프레스 Dockerfile 작성하기
__16.2 MySQL 데이터베이스 Dockerfile 작성하기
__16.3 워드프레스와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 생성하기
17장 ▶ Docker로 Ruby on Rails 애플리케이션 구축하기
__17.1 Ruby와 Rails 설치하기
__17.2 Rails Dockerfile 작성하기
__17.3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Dockerfile 작성하기
__17.4 Rails와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 생성하기
18장 ▶ Docker로 Django 애플리케이션 구축하기
__18.1 Django 설치하기
__18.2 Django Dockerfile 작성하기
__18.3 Oracle 데이터베이스 Dockerfile 작성하기
__18.4 Django와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 생성하기
19장 ▶ Docker 활용 시나리오
__19.1 로드 밸런서와 연계한 확장 전개
__19.2 개발, 테스트, 운영을 통합
__19.3 손쉬운 서비스 이전
__19.4 테스트 용도
20장 ▶ Docker 명령어 및 옵션 목록
__20.1 attach
__20.2 build
__20.3 commit
__20.4 cp
__20.5 create
__20.6 diff
__20.7 events
__20.8 exec
__20.9 export
__20.10 history
__20.11 images
__20.12 import
__20.13 info
__20.14 inspect
__20.15 kill
__20.16 load
__20.17 login
__20.18 logout
__20.19 logs
__20.20 port
__20.21 pause
__20.22 ps
__20.23 pull
__20.24 push
__20.25 restart
__20.26 rm
__20.27 rmi
__20.28 run
__20.29 save
__20.30 search
__20.31 start
__20.32 stop
__20.33 tag
__20.34 top
__20.35 unpause
__20.36 version
__20.37 wait
부록 ▶
01. Docker 컴파일하기
02. 우분투 한국 미러 사용하기
03. 참고 사이트
책속으로
[저자 서문]
어떤 분야보다도 오픈 소스 개발환경은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GitHub가 생기면서 코드 공헌의 문턱이 낮아졌고,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인 Git의 특성을 활용하여 유명 프로젝트를 포크(fork)한 나만의 프로젝트를 운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서버 개발 및 운영환경에서 디렉터리를 격리하는 chroot나 리눅스 커널 레벨에서 컨테이너를 구현한 LXC는 나온 지가 꽤 되었지만 널리 쓰이지 못했습니다. 이때 Docker는 GitHub의 공유 모델을 활용하여 놀라울 정도로 편리한 플랫폼을 구축했습니다.
GitHub에서 프로젝트를 포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Docker에서는 Docker Hub에 올라가 있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나만의 이미지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주요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공식 이미지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이 올린 이미지 그리고 내가 올린 이미지가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으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인터페이스를 통일하고 데이터를 한 곳에 모은다는 것은 상상 이상의 효율성을 가져왔습니다.
리눅스의 태생적인 한계는 실행 파일과 라이브러리 간의 호환성 문제였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리눅스 배포판들은 고유의 패키지 시스템을 내놓았지만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었습니다. 여기서 Docker는 프로그램 혹은 서비스에서 실행 가능한 상태의 조합을 컨테이너로 묶어 버렸고,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이제 리눅스 서버 관리자가 시스템 구축과 관리에 낭비하는 시간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게다가 소스를 컴파일해서 설치한 뒤 완벽하게 삭제하지 못할 때의 찝찝함도 사라졌습니다.
Docker를 활용하면 특정 클라우드 플랫폼에 종속된 환경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마음만 먹으면 Amazon Web Services에서 Google Cloud Platform으로 그리고 Microsoft Azure로 손쉽게 이전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서버를 일일이 구축하지 않고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Docker 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요금이 싸고 조건이 좋은 서비스로 언제든지 갈아탈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 책에는 Docker의 모든 것을 담지 못했습니다. Docker는 지금도 계속 발전하고 있고, 활용 방법도 끊임없이 나오고 있습니다. Docker는 어떤 고정된 제품이 아니고, 여러 프로그램들과 조합하기에 따라 무궁무진한 활용 방법이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금까지 나와 있는 활용 방법을 모두 소개하기보다는 Docker의 기본 사용 방법을 완벽히 익히고, 스스로 서비스를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서버 개발과 운영에 새로운 세상을 열게 해준 Docker의 매력을 함께 느껴보시죠!_ 이재홍
출판사 서평
어떤 클라우드에서도 빠르게 배포한다!한 번 빌드하면 어디서나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Docker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안전한 런타임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에 따라 설치, 설정, 의존성 같은 반복 작업을 하지 않아도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배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상 머신이 시스템간 호환성, 이동성에 제약이 있다면 Docker는 그런 제약에서 자유롭다. 아마존 웹 서비스,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같은 플랫폼을 자유롭게 이동하고 배포할 수 있다.가상 머신의 부하 없이 즐기는 가상 환경
하이퍼바이저가 CPU, RAM, 스토리지 같은 하드웨어를 전부 추상화했다면, Docker는 운영체제 커널만 추상화했다. Docker는 운영체제를 공유하면서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가상화와 격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볍고 빠르다. 이미지 생성, 스냅샷 생성, 초기화도 Docker라면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개발자와 운영자를 위한 진정한 배포 시스템
런타임 환경을 한 번 만들고, 패키징만 하면 어떤 머신에서나 반복해서 실행할 수 있다. 가상 머신처럼 호스트와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된다. 개발자는 코드 품질에 더 많은 시간을 집중할 수 있고, 운영자는 개별 서버를 일일이 관리하는 대신 배포 이미지 관리에 집중함으로써 시스템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다. Docker 기반 배포를 구현하면 개발, 테스트, 서비스 단계의 시스템 불일치나 호환성 문제를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예제소스
https://github.com/gilbutitbook/006756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가장 빨리 만나는 도커(Docker)
저자 이재홍
출판사 길벗
ISBN 9788966188383 (8966188389)
쪽수 360
출간일 2014-11-30
사이즈 183 * 235 * 35 mm /684g
목차 또는 책소개 1장 ▶ Docker
__1.1 가상 머신과 Docker
____1.1.1 가상 머신
____1.1.2 Docker
____1.1.3 리눅스 컨테이너
__1.2 Docker 이미지와 컨테이너
2장 ▶ Docker 설치하기
__2.1 리눅스
____2.1.1 자동 설치 스크립트
____2.1.2 우분투
____2.1.3 RedHat Enterprise Linux, CentOS
____2.1.4 최신 바이너리 사용하기
__2.2 Mac OS X
__2.3 Windows
3장 ▶ Docker 사용해보기
__3.1 search 명령으로 이미지 검색하기
__3.2 pull 명령으로 이미지 받기
__3.3 images 명령으로 이미지 목록 출력하기
__3.4 run 명령으로 컨테이너 생성하기
__3.5 ps 명령으로 컨테이너 목록 확인하기
__3.6 start 명령으로 컨테이너 시작하기
__3.7 restart 명령으로 컨테이너 재시작하기
__3.8 attach 명령으로 컨테이너에 접속하기
__3.9 exec 명령으로 외부에서 컨테이너 안의 명령 실행하기
__3.10 stop 명령으로 컨테이너 정지하기
__3.11 rm 명령으로 컨테이너 삭제하기
__3.12 rmi 명령으로 이미지
4장 ▶ Docker 이미지 생성하기
__4.1 Bash 익히기
__4.2 Dockerfile 작성하기
__4.3 build 명령으로 이미지 생성하기
5장 ▶ Docker 살펴보기
__5.1 history 명령으로 이미지 히스토리 살펴보기
__5.2 cp 명령으로 파일 꺼내기
__5.3 commit 명령으로 컨테이너의 변경사항을 이미지로 생성하기
__5.4 diff 명령으로 컨테이너에서 변경된 파일 확인하기
__5.5 inspect 명령으로 세부 정보 확인하기
6장 ▶ Docker 좀 더 활용하기
__6.1 Docker 개인 저장소 구축하기
____6.1.1 로컬에 이미지 데이터 저장
____6.1.2 push 명령으로 이미지 올리기
____6.1.3 Amazon S3에 이미지 데이터 저장
____6.1.4 기본 인증 사용하기
__6.2 Docker 컨테이너 연결하기
__6.3 다른 서버의 Docker 컨테이너에 연결하기
__6.4 Docker 데이터 볼륨 사용하기
__6.5 Docker 데이터 볼륨 컨테이너 사용하기
__6.6 Docker 베이스 이미지 생성하기
____6.6.1 우분투 베이스 이미지 생성하기
____6.6.2 CentOS 베이스 이미지 생성하기
____6.6.3 빈 베이스 이미지 생성하기
__6.7 Docker 안에서 Docker 실행하기
7장 ▶ Dockerfile 자세히 알아보기
__7.1 .dockerignore
__7.2 FROM
__7.3 MAINTAINER
__7.4 RUN
__7.5 CMD
__7.6 ENTRYPOINT
__7.7 EXPOSE
__7.8 ENV
__7.9 ADD
__7.10 COPY
__7.11 VOLUME
__7.12 USER
__7.13 WORKDIR
__7.14 ONBUILD
8장 ▶ Docker로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__8.1 서버 한 대에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____8.1.1 개발자 PC에서 Git 설치 및 저장소 생성하기
____8.1.2 개발자 PC에서 Node.js로 웹 서버 작성하기
____8.1.3 개발자 PC에서 Dockerfile 작성하기
____8.1.4 개발자 PC에서 SSH 키 생성하기
____8.1.5 서버에 Git 설치 및 저장소 생성하기
____8.1.6 서버에 Docker 설치하기
____8.1.7 서버에 SSH 키 설정하기
____8.1.8 서버에 Git Hook 설정하기
____8.1.9 개발자 PC에서 소스 Push하기
__8.2 서버 여러 대에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____8.2.1 개발자 PC에서 Git 설치 및 저장소 생성하기
____8.2.2 개발자 PC에서 Node.js로 웹 서버 작성하기
____8.2.3 개발자 PC에서 Dockerfile 작성하기
____8.2.4 개발자 PC에서 SSH 키 생성하기
____8.2.5 배포 서버에 Git 설치 및 저장소 생성하기
____8.2.6 배포 서버에서 SSH 키 생성하기
____8.2.7 배포 서버에 Docker 설치하기
____8.2.8 배포 서버에 Docker 레지스트리 서버 설정하기
____8.2.9 배포 서버에 SSH 키 설정하기
____8.2.10 배포 서버에 Git Hook 설정하기
____8.2.11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Docker 설치하기
____8.2.12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SSH 키 설정하기
____8.2.13 개발자 PC에서 소스 Push
9장 ▶ Docker 모니터링하기
__9.1 모니터링 서버 Dockerfile 작성하기
__9.2 애플리케이션 서버 Dockerfile 작성
__9.3 웹 브라우저에서 그래프 확인
10장 ▶ Amazon Web Services에서 Docker 사용하기
__10.1 Amazon EC2에서 Docker 사용하기
__10.2 AWS Elastic Beanstalk에서 Docker 사용하기
____10.2.1 AWS 콘솔에서 Docker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____10.2.2 Docker Hub 공개 저장소 이미지 사용하기
____10.2.3 Docker Hub 개인 저장소 이미지 사용하기
____10.2.4 Git으로 Elastic Beanstalk Docker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11장 ▶ Google Cloud Platform에서 Docker 사용하기
__11.1 Google Cloud SDK 설정하기
__11.2 Compute Engine에서 Docker 사용하기
__11.3 Container Engine에서 Docker 사용하기
12장 ▶ Microsoft Azure에서 Docker 사용하기
13장 ▶ Docker Hub 사용하기
__13.1 Docker Hub 가입하기
__13.2 push 명령으로 이미지 올리기
__13.3 Docker Hub 개인 저장소 생성하기
__13.4 Docker Hub Automated Build 활용하기
14장 ▶ Docker Remote API 사용하기
__14.1 Docker Remote API Python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____14.1.1 컨테이너 생성 및 시작하기
____14.1.2 이미지 생성하기
____14.1.3 컨테이너 목록 출력하기
____14.1.4 이미지 목록 출력하기
____14.1.5 기타 예제 및 함수
__14.2 Docker Remote API Python 라이브러리로 HTTPS 통신하기
____14.2.1 인증서 생성하기
____14.2.2 Python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15장 ▶ CoreOS 사용하기
__15.1 VirtualBox에 CoreOS 설치하기
____15.1.1 systemd로 서비스 실행하기
__15.2 Vagrant로 CoreOS 설치하기
__15.3 etcd 사용하기
____15.3.1 etcd 키, 디렉터리 생성하기
____15.3.2 etcd 키, 디렉터리 목록 출력하기
____15.3.3 etcd 키, 디렉터리 자동 삭제 설정하기
____15.3.4 etcd 키 감시하기
____15.3.5 etcd 기타 명령
__15.4 fleet 사용하기
____15.4.1 fleet 머신 목록 출력하기
____15.4.2 fleet으로 유닛 실행하기
____15.4.3 fleet 유닛 목록 출력하기
____15.4.4 fleet 유닛 상태 확인하기
____15.4.5 fleet 자동 복구 확인하기
____15.4.6 fleet 전용 옵션 사용하기
____15.4.7 fleet 유닛 파일 템플릿 활용하기
____15.4.8 fleet 사이드킥 모델 활용하기
____15.4.9 fleet 기타 명령
__15.5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CoreOS 사용하기
____15.5.1 Amazon EC2에서 CoreOS 사용하기
____15.5.2 Google Compute Engine에서 CoreOS 사용하기
16장 ▶ Docker로 워드프레스 블로그 구축하기
__16.1 워드프레스 Dockerfile 작성하기
__16.2 MySQL 데이터베이스 Dockerfile 작성하기
__16.3 워드프레스와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 생성하기
17장 ▶ Docker로 Ruby on Rails 애플리케이션 구축하기
__17.1 Ruby와 Rails 설치하기
__17.2 Rails Dockerfile 작성하기
__17.3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Dockerfile 작성하기
__17.4 Rails와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 생성하기
18장 ▶ Docker로 Django 애플리케이션 구축하기
__18.1 Django 설치하기
__18.2 Django Dockerfile 작성하기
__18.3 Oracle 데이터베이스 Dockerfile 작성하기
__18.4 Django와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 생성하기
19장 ▶ Docker 활용 시나리오
__19.1 로드 밸런서와 연계한 확장 전개
__19.2 개발, 테스트, 운영을 통합
__19.3 손쉬운 서비스 이전
__19.4 테스트 용도
20장 ▶ Docker 명령어 및 옵션 목록
__20.1 attach
__20.2 build
__20.3 commit
__20.4 cp
__20.5 create
__20.6 diff
__20.7 events
__20.8 exec
__20.9 export
__20.10 history
__20.11 images
__20.12 import
__20.13 info
__20.14 inspect
__20.15 kill
__20.16 load
__20.17 login
__20.18 logout
__20.19 logs
__20.20 port
__20.21 pause
__20.22 ps
__20.23 pull
__20.24 push
__20.25 restart
__20.26 rm
__20.27 rmi
__20.28 run
__20.29 save
__20.30 search
__20.31 start
__20.32 stop
__20.33 tag
__20.34 top
__20.35 unpause
__20.36 version
__20.37 wait
부록 ▶
01. Docker 컴파일하기
02. 우분투 한국 미러 사용하기
03. 참고 사이트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상품페이지 참고
저자 상품페이지 참고
출판사 상품페이지 참고
크기 상품페이지 참고
쪽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상품페이지 참고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배송공지

사용후기

회원리뷰 총 0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 총 0개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방법]
마이페이지> 주문배송조회 > 반품/교환신청 또는 고객센터 (070-4680-5689)로 문의 바랍니다.

[반품주소]
- 도로명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로 62-20 (산남동)
- 지번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305-21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14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단순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양서-판매정가의 12%, ②일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가장 빨리 만나는 도커(Docker)
    가장 빨리 만나는
    23,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