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왕조실록 : 북윈도
리뷰 0 위시 120

발해왕조실록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살림
저자 구난희
ISBN 9788952234315 (8952234316)
정가 4,800원
판매가 4,320원(10% 할인)
배송비 2,500원 (12,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 일부 도서 제외)
포인트 정책 설명문 닫기

00포인트

포인트 정책 설명문 출력

선택된 옵션

관심상품

상품 정보

사은품
상품 상세설명


발해는 실제로 한국사에서 가장 거대한 영토를 영유했으며, 강력한 군사력과 문화력을 겸비한 채 주변 여러 민족들을 아울렀고, 탁월한 외교력으로 동아시아의 국제관계를 주도했다. 그러나 『발해왕조실록』의 저자는 역사의 영광스러운 일면만을 보아서는 안 된다고 충고하며 이 책을 통해 발해 역사의 어두움과 찬란함 모두를 포괄하고, 아울러 성립 이전과 멸망 이후까지 다룸으로써 진정한 발해의 모습을 오늘에 되살려내고자 한다.

목차
발해 건국의 전야
제1대 고왕 대조영
제2대 무왕 대무예
제3대 문왕 대흠무
제4대 대원의왕
제5대 성왕 대화여
제6대 강왕 대숭린
제7대 정왕 대원유
제8대 희왕 대언의
제9대 간왕 대명충
제10대 선왕 대인수
제11대 대이진왕
제12대 대건황왕
제13대 대현석왕
제14대 대위해왕
제15대 대인선왕
발해 유민의 고려 내투
후발해
정안국
흥료국
대발해국
변함없이 이어지는 발해인의 습속
발해의 도성은 어떠했을까?
다양한 요소가 공존하는 발해 문화
책속으로
713년(고왕 16)에 당은 다시 최흔(崔炘)을 파견하여 고왕 대조영을 ‘발해군왕(渤海郡王)’으로 책봉했다. 이로부터 말갈이라는 이름을 버리고 발해라는 국호가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전하는데, 이는 『신당서』에 언급된 내용에 불과하다. 당시 발해가 스스로를 말갈이라 칭했다는 사실은 어느 곳에서도 확인되지 않으며, 책봉을 받은 뒤 발해가 스스로 진국이라는 이름을 버리고 발해라고 칭했는지 여부 또한 정확하게 말해주는 기록은 없다. 다만 당이 말갈이 아닌 발해라는 정식 호칭을 붙였다는 것을 말해줄 따름이다. 그리고 이 사실은 발해가 자주 독립국가라는 것을 당 스스로 인정했음을 보여준다. _19쪽한편 무왕의 대당 정책은 강경일변도로 지속되지만은 않았다. 735년(무왕 17)을 전후로 돌궐 세력이 붕괴하고 거란과 해(奚)는 다시 당에 복속되어 발해의 배후 세력이 와해되었으며, 같은 해 2월 당이 신라에 패강(浿江: 현재의 대동강) 이남을 인정함으로써 양국 관계가 급속하게 긴밀해지고 있었다. 이러한 대외 정세 변화를 감지한 무왕은 736년(무왕 18) 대번(大蕃)을 파견하여 숙위 교체를 요구하고, 다시 대무경(大茂慶)을 파견하여 돌궐이 원군을 요청해 온 사실을 전하면서 당과 화해를 도모했다. 이에 당은 대문예 암살 사건 즈음에 파견되었다가 유배되었던 대낭아(大郎雅)를 귀국시키고 발해와 당의 전쟁 당시 붙잡혔던 전쟁포로도 귀환시켰다. 이로써 발해와 당은 대립과 갈등을 청산하고 우호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무왕의 대당 정책 전환은 대외 정세에 대한 면밀한 판단과 등주 공격, 마도산 전투 참가, 대일 통교 등을 통해 형성된 대외적 위상에 대한 자신감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라 하겠다.
무왕은 이듬해 737년(무왕 19) 사망했다. ‘武王’이라는 시호(諡號)에서 보듯 그는 군사력을 강화하고 대외 확장을 추진했으며 이를 견제하려는 당의 획책에 정면 승부로 대응하면서 발해의 대내외 위상을 확립했다. 무왕 대의 정황을 『신당서』에서는 “넓은 땅을 개척하여 동북의 여러 오랑캐들이 두려워하여 발해의 신하가 되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_27~28쪽문왕은 재위 기간 동안 6차례에 걸쳐 높은 책봉을 받았는데 이는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특히 안사의 난이 끝나갈 무렵인 762년(문왕 26)에는 ‘발해군왕’에서 ‘발해국왕’으로 승격되었다. 비록 명목상이긴 하지만 문왕 대에 와서 국제적 위상이 한층 높아졌다는 점을 보여준다.
안으로 문물을 정비하고 밖으로 국가의 위상을 드높인 문왕은 자신을 중국 황제에 버금가는 군주로, 발해를 황제국으로 인식했으며 이를 대내외에 공포했다. 이러한 문왕의 인식은 여러 부분에서 확인된다.
먼저 774년(문왕 38)에는 연호를 ‘대흥’에서 ‘보력(寶曆)’으로 개칭했다. 보력이란 원래 천자가 백성에게 달력을 내리는 행위를 일컫는 말로, 문왕이 이를 연호로 정했다는 것은 스스로 천자에 버금가는 황제의 입지를 갖추었다는 자신감을 내세운 것이라 하겠다. _45~46쪽
출판사 서평
거대한 영토, 다양한 문화와 종족을 아우르며
황제국이라 칭했던 ‘해동성국’ 발해그 생생한 역사의 현장 속을 다시 걷는다!왕대별 테마! 시대별 핵심!
굵직한 사건을 정사 중심으로 서술한 한국사의 맥!문고본 최초로 시도되는 한국사 왕조실록 시리즈,
『발해왕조실록』 출간!살림출판사에서는 지난 15여 년간 문ㆍ사ㆍ철을 중심으로 한 인문학과, 과학기술ㆍ예술ㆍ실용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살림지식총서》를 500종 이상 출간했다.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 문고’임을 자처하는 《살림지식총서》가 이번에는 ‘한국사 왕조실록 시리즈(전19권)’를 준비했다. 문고본으로서는 최초로 시도되는 기획이다.
‘한국사 왕조실록 시리즈’는 고조선에서부터 대한제국까지 반만 년을 지속한 한국사의 맥을 왕대별로 묶었다. 여기에 중국의 황하문명보다 2,000년 이상 앞서고 고조선의 흔적이 많이 발견되는 요하문명도 포함시켰다. 이는 동북공정으로 역사를 왜곡하려는 중국에 대항할 역사관을 심어주고자 한 것이다.
2015년 『조선왕조실록』(전6권)을 시작으로 하여, 2016년 『고조선왕조실록』, 『고구려왕조실록』(전2권), 『백제왕조실록』(전2권), 『가야왕조실록』과 더불어, 이 책 『발해왕조실록』을 펴낸다.발해의 진면목을 찾아서
‘중국 둥베이지방(東北地方)과 연해주를 아우른 거대한 나라’ ‘황제국이라 칭함’ ‘중국이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 일컬음’. 모두 한 나라를 두고 하는 말이다. 바로 발해다.
발해는 실제로 한국사에서 가장 거대한 영토를 영유했으며, 강력한 군사력과 문화력을 겸비한 채 주변 여러 민족들을 아울렀고, 탁월한 외교력으로 동아시아의 국제관계를 주도했다. 그러나 이 책 『발해왕조실록』에서 저자는 발해 역사의 영광스러운 일면만을 보아서는 안 된다고 충고한다. 어느 나라든 부침이 있기 마련이며, 그런 고난의 극복 과정 역시 그 나라의 소중한 유산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이 책은 발해 역사의 어두움과 찬란함 모두를 포괄하고, 아울러 성립 이전과 멸망 이후까지 다룸으로써 진정한 발해의 모습을 오늘에 되살려내고자 한다.황제국 발해의 위용
잘 알다시피 발해는 고구려 출신인 대조영이 당나라의 혼란을 틈타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끌고 동모산(현재의 지린성 둔화시)에서 건국한 나라다. 고왕 대조영이 고구려 옛 땅인 동모산을 근거지로 삼았다는 사실에서 강력한 고구려 계승의식이 잘 드러난다.
그렇지만 발해는 단일 민족, 단일 문화 국가가 아니라 시작부터 다민족, 다문화 국가였다. 이 점은 발해의 가장 독특한 특성이자 강점이기도 했다. 고왕 대조영은 고구려 옛 땅 수복이라는 기치 아래 영토 확장의 야망을 숨기지 않았고, 이는 제2대 무왕 대무예에게로 이어졌다. 무왕은 처음부터 당과 무력으로 맞대응하며 당당히 맞섰으며 이후 국제관계가 변화하자 유연한 자세로 당과 협력관계를 맺기를 또한 주저하지 않았다. 이런 자세는 어쩌면 다양한 요소를 아우르며 시작된 발해라는 나라의 본질이 몸에 밴 결과일지도 모른다.
한편 제3대 문왕 대흠무는 외교에서 철저히 중립 노선을 견지하면서 현명하게 국가의 위상을 재고한다. 또한 안으로는 3성6부제의 중앙관제를 완비하고, 5경을 설치하는가 하면, 군사제도인 10위제도를 마련했다. 이러한 발전과 그에 따른 자신감을 바탕으로 문왕은 발해가 황제국임을 대내외에 표방했다. 제10대 선왕 대인수에 이르러 발해는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고구려의 1.5~2배에 이르는 최대 영토를 확보했으며, 당으로부터 ‘해동성국’이라는 칭송을 받았다. 그리고 당, 신라, 왜는 물론, 서역과도 교류했다.
그러나 제15대 대인성왕 대에 이르러, 당나라의 멸망과 5대10국의 혼란 속에서 급성장한 거란족에 의해 발해는 멸망의 비운을 맞고 말았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발해 멸망 이후 발해 유민에 의한 부흥운동이 무려 200년간이나 지속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세계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일로, 그들의 고국 재건을 향한 염원이 얼마나 뜨거웠는지, 발해인이라는 정체성이 얼마나 강력했는지를 또렷이 보여준다.오늘날 본받아야 할 발해의 다양성, 포용성, 유연성
저자는 이 책을 마무리하면서 다음과 같이 역설한다.
“우리는 발해의 개방적이고 유연한 문화 능력과 그 성과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살필 필요가 있다. 발해는 여러 면에서 진취적이고 개방적이며 유연했다. 고구려 계승의식을 견지하면서도 이민족과 이문화에 개방적이었다.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고 변용할 줄 알았고 다양한 통치 방식을 운영하면서 지역별 특성과 장점을 융합하고 통합할 줄 알았다. 발해가 남긴 다양한 문화 속에는 한국적 연원이나 감성으로부터 다소 이탈하는 문화 요소가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는 이를 간과하거나 배제할 것이 아니라 적극 포용해야 할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한국사와 한국 문화의 폭과 범위를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발해는 다양한 문화 요소가 공존하는 나라였다. 건국 초기에는 고구려 문화를 바탕으로 했고, 이후 당과 관계가 호전되면서 당나라 문화를 적극 받아들였다. 여기에 말갈의 고유문화, 중앙아시아나 시베리아에서 전해진 문화 요소가 또한 포함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발해만의 고유한 특성과 독자성을 보여주는 문화를 창조해냈다.
오늘날 다문화, 다민족 사회로 급격히 진입하고 있는 우리에게 발해의 다양성, 포용성, 유연성은 깊이 성찰하고 본받아야 할 소중한 유산이다. 적대와 배척보다 포섭과 융화를 택한 발해인의 지혜에서 우리의 미래를 일구어갈 길을 발견할 수 있을지 모른다.[책속으로 추가]
오소도와 오광찬 부자는 대를 이어 당의 빈공과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다.
오소도는 872년 빈공과에 급제했는데 함께 응시한 신라인 이동을 제치고 수석을 차지했다. 최치원(崔致遠)은 신라가 발해에 밀린 것을 매우 분하게 생각했다. 2년 뒤인 874년 최치원은 18세의 나이로 빈공과에 급제했고 자신을 선발해준 당 예부시랑(禮部侍?) 배찬(裵瓚)에게 감사의 글을 보냈다. 그 글 가운데서 이전에 발해가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던 사실을 두고 “관과 신발이 거꾸로 된 것[冠帽倒置]” “영원히 남을 나라의 수치[永胎一國之恥]”라고 표현하면서 그 당시 빈공과를 주관했던 담당 관리 최시랑(崔侍郞)의 판정이 “집안의 닭은 천하게 여기고 산에 있는 고니를 귀하게 여기는 혐의[賤鷄貴鵠]”라고 비꼬아댔다.
오소도는 이후 발해에서 최고의 재상을 역임한 후 905년 다시 당으로 파견되었다. 이때 그의 아들 오광찬도 아버지에 이어 빈공과에 도전했다. 급제는 했지만 함께 응시했던 신라인 최언위(崔彦?)보다 낮은 성적을 거두었다. 이에 오소도는 이전에 자신이 신라인보다 앞섰던 일을 말하면서 아들의 성적을 변경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당은 이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발해와 신라 간의 빈공과 합격 성적을 둘러싼 경쟁은 학문 업적만이 아니라 양국의 국제적 지위를 확인하는 정치적ㆍ외교적 의미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최치원과 오소도ㆍ오공찬 부자가 빈공과 성적을 두고 민감하게 반응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보면 선왕 대 이래 9세기 말까지는 발해의 국제적 위상이 신라를 앞서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_94~96쪽발해의 멸망으로 북방 영토가 한국사의 무대에서 사라진 안타까움은 발해의 급작스런 패망 원인을 밝혀보려는 노력으로 이어졌다. 세인의 관심을 모았던 것 중 하나가 일본 NHK 방송국이 방영한 ‘발해, 백두산에 묻힌 멸망의 진실’이었다.
일본 화산학자 마치다 히로시(町田洋)는 일본 도호쿠(東北)지방의 독특한 화산재에 주목하고, 그것이 서쪽으로 갈수록 두텁게 쌓여 있는 것을 단서로 백두산의 대규모 화산 폭발이 발해 멸망을 초래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_115쪽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발해왕조실록
저자 구난희
출판사 살림
ISBN 9788952234315 (8952234316)
쪽수 164
출간일 2016-06-30
사이즈 120 * 190 * 11 mm /188g
목차 또는 책소개 발해 건국의 전야
제1대 고왕 대조영
제2대 무왕 대무예
제3대 문왕 대흠무
제4대 대원의왕
제5대 성왕 대화여
제6대 강왕 대숭린
제7대 정왕 대원유
제8대 희왕 대언의
제9대 간왕 대명충
제10대 선왕 대인수
제11대 대이진왕
제12대 대건황왕
제13대 대현석왕
제14대 대위해왕
제15대 대인선왕
발해 유민의 고려 내투
후발해
정안국
흥료국
대발해국
변함없이 이어지는 발해인의 습속
발해의 도성은 어떠했을까?
다양한 요소가 공존하는 발해 문화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상품페이지 참고
저자 상품페이지 참고
출판사 상품페이지 참고
크기 상품페이지 참고
쪽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상품페이지 참고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배송공지

사용후기

회원리뷰 총 0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 총 0개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방법]
마이페이지> 주문배송조회 > 반품/교환신청 또는 고객센터 (070-4680-5689)로 문의 바랍니다.

[반품주소]
- 도로명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로 62-20 (산남동)
- 지번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305-21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14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단순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양서-판매정가의 12%, ②일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발해왕조실록
    발해왕조실록
    4,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