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성록 언행록 성학십도 : 북윈도
리뷰 0 위시 120

자성록 언행록 성학십도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동서문화사
저자 이황
ISBN 9788949704821 (894970482X)
정가 18,000원
판매가 16,200원(10% 할인)
배송비 무료배송
포인트 정책 설명문 닫기

00포인트

포인트 정책 설명문 출력

선택된 옵션

관심상품

상품 정보

사은품
상품 상세설명


퇴계 이황의 글을 모은 책. 자성록과 언행록, 성학십도를 소개한 것으로 조선 유림들에게 많은 영향을 준 퇴계 이황의 학문적 역량과 사상을 엿볼 수 있도록 했다. 학문의 기본 자세와 고매한 인품, 바른 길로 가야하는 이유에서부터 벼슬살이와 향리생활에 필요한 이야기 등을 수록했다. 《자성록 언행록 성학십도》는 일생 일대 필생 쌓아올린 학문적 지식을 담은 성학십도도 수록했으며 고봉 기대승과의 사단칠정 발현 문제로 벌인 논쟁에 대한 내용도 담았다. 양장본.

목차
머리글

자성록(自省錄)
진리 얻으매 깊이 음미해야
남시보(南時甫)에게 1
도리는 오로지 일상생활에서
남시보에게 2
예를 행함에 공손함을 다해야
정자중(鄭子中)에게 1
근본이 서면 도가 생긴다
정자중에게 2
이(理)는 만물 속에 있으므로
정자중에게 3
거울같이 맑고 물같이 고요하고
정자중에게 답함 4
기(氣)에는 삶과 죽음 있지만 이(理)에는 삶과 죽음이 없다
정자중에게 5
다만 경(敬)을 지켜 마음을 함부로 잃지 말며
정자중에게 6
나무는 고요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멈추어주지 아니하니
정자중에게 7
자기에게는 이롭게 남에게는 해롭게, 이것이 순과 도척의 구분되는 사유
정자중에게 8
어진 이는 산을 즐기고 지혜로운 이는 물을 즐기고
권호문(權好文)에게
마음의 기능은 생각하는 데에 있다
김돈서(金惇?)에게
이해가 눈앞에 있더라도 속박되지 않으면
이숙헌(李叔獻) 율곡(栗谷)에게
높은 곳을 오르려면 반드시 낮은 곳에서부터
황중거(黃仲擧)에게 답하여 《백록동규집해》를 논함
천하만물은 오로지 한 가지 이치만으로 되어
황중거에게 거듭 답함
마음의 영묘함을 이(理)와 기(氣)로 나누어 놓고
기정자 명언(奇正字 明彦)에게
곤륜이 대추를 통째로 삼킨다
기명언에게
하늘의 뜻이 그리 시키는 것
정자중과 기명언이 학문을 논함에 답함
자기를 속이고 남을 속이게 되는 것
기명언에게 주는 편지의 별지
얕으면 얕게, 깊으면 깊게 말해야
노이재(盧伊齋)에게
오래 사는 것 개의치 않고 덕을 닦아 죽음을 기다린다
기명언에게

언행록(言行錄)
언행록1 학문?공경?덕성을 말하다
묻고 배움
독서
격물치지를 논함
마음의 보존과 성찰
경(敬) 공부를 논함
덕을 이룸
사람을 가르침

언행록2 자질 절도 몸가짐을 말함
학문의 강론과 변별
자질과 품성
처소와 침묵의 절제
몸을 다스림
청빈한 생활
검약(儉約)
조상을 받드는 일
가훈(家訓)
시골생활
사양함과 받아들이기

언행록3 벼슬살이와 향리생활을 말함
사람들과의 사귐
음식과 의복의 절제
자연을 즐김
벼슬살이와 물러나기
임금을 섬김
임금께 삼가기를 아룀
나의 벼슬살이 자식들의 벼슬살이
자식들에게 벼슬살이를 가르침

언행록4 이(理)와 기(氣) 예(禮)를 말함
이(理)와 기(氣)를 논하다
관혼상제의 예를 논함
시사(時事)를 논함

언행록5 바른 학문, 바른 인생을 말함
인물을 논평하다
과거의 폐단을 논평함
바른 학문을 숭상함
그 밖의 여러 기록
경연 신하들이 아뢴 말씀
임종의 기록

언행록6 경(敬)?의(義)?지(知)?행(行)이 하나로 관통했던 일생
사실들을 기록함―김성일(金誠一)
언행을 모두 적음―정유일(鄭惟一)
세상에 남기신 일들―이이(李珥)
행장을 가려 적음―박순(朴淳)
사후 추존(追尊)을 위한 건의
교지문(敎旨文)
제문(祭文)

성학십도(聖學十圖)
성학십도
성학십도를 올리는 글
《성학십도》 원문 해설
1. 태극도설(太極圖說)
2. 서명(西銘)
3. 소학제사(小學題辭)
4. 대학경(大學經)
5. 동규후서(洞規後敍)
6. 심통성정도설(心統性情圖說)
7. 인설(仁說)
8. 심학도설(心學圖說)
9. 경재잠(敬齋箴)
10.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논사단칠정서(論四端七情書)
1. 기명언에게 드림―기미(己未)
2. 사단칠정을 이와 기로 나누어 말할 수 없다는 기명언의 변증을 첨부함
3. 기명언에게 답함―사단칠정을 논한 두 번째 글
4. 기명언에게 답함―사단 칠정을 논하는 세 번째 글
5. 기명언에게 답함
6. 기명언에게 거듭 답함
7. 기명언의 ‘사단 칠정 후설’을 덧붙임
8. 기명언의 ‘사단 칠정 총론’을 덧붙임

시(詩)
1. 길선생 마을을 지나며
2. 월영대(月影臺)
3. 촉석루(矗石樓)
4. 영남루(嶺南樓)
5. 봄에
6. 복사꽃 아래에서
7. 봄날 냇가에
8. 압록강 천연해수
9. 위화도(威化島)
10. 청평산(淸平山)을 지나며
11. 도산 달밤의 매화
12. 망호당의 매화를 찾아
13. 도수매(倒垂梅)
14. 호당(湖堂)의 매화 늦봄에 피어나다
15. 고산(孤山)
16. 퇴계 초가에서 황금계(黃錦溪) 찾아옴을 기뻐하며
17. 초가를 계서(溪西)로 옮기고 한서암(寒棲庵)이라 이름짓다
18. 이선생이 한서암에 오시다
19. 퇴계
20. 한서(寒棲)
21. 가재
22. 맑은 연꽃 향기
23. 배 안에서
24. 도연명의 음주에 화창함
25. 이포(梨浦)를 지나며
26. 어부
27. 반궁(泮宮)
28. 서당에서 김응림(金應霖) 추회(秋懷)에 합창함
29. 소나무를 읊는다
30. 모춘우작(暮春偶作)
31. 세모에 고향 편지 받아들고 감회를
32. 저물녘 거닐며
33. 눈 속의 대나무

소(疏)
한낮의 태백성은 병란의 징조(甲辰乞勿絶倭使疏)
무엇을 의(義)라 하겠습니까(戊午辭職疏)
천도(天道)는 가까이에 있다(戊辰六條疏)

경연일기(經筵日記)
건괘상구강의(乾卦上九講義)
서명고증강의(西銘考證講義)

퇴계 이황의 생애와 사상
퇴계 이황의 생애와 사상
이황 연보
출판사 서평
엄격 부단한 정신도야, 고매한 인품, 깊은 사상
한국 사상 근간 학문의 창성자 이황
퇴계 학문 사상의 진수를 집대성!민족의 나아갈 길을 밝혀준 한국인의 스승
우리나라에서 성리학의 발달은 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을 통해 최고봉에 이르렀으며, 퇴계의 학문과 덕행 또는 문장은 실로 위대한 경지에 도달했다.
퇴계의 학문, 덕행 및 유풍은 그 크기와 규모 영향력에 있어서 한국 역사상 으뜸이며 유림계의 태산이요, 북두성 같은 존재로서 수많은 유림의 사표이며 그 가운데서 크게 빛나고 있다. 주자학 사상에서 보면 동양에서 주자 이후로 제1인자인 것이다.
퇴계 이황은 조선 유림들이 태산북두와 같이 존경하고 사모하여 마지않는 명현(名賢)으로 길이길이 이 민족이 지켜 나갈 길을 밝혀 주는 스승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아직 문화의 불모지였던 이웃 일본에도 그 높은 학풍을 전해주었던 것이다. 이황은 참으로 조선 이후 우리나라 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학문의 창조자가 아닐 수 없다.「자성록」
「자성록」은 퇴계가 자신의 사상적 원숙기라고 할 수 있는 55∼60세 때까지의 시기에 문인들에게 보낸 서간 가운데서 수양과 성찰에 도움이 되는 편지 22통을 모아 직접 편집한 책이다.
퇴계는 성학을 배우는 초학자들의 공통적인 심기(心氣)의 병을 설명한다. 그에 따르면 초학자들의 병은 아직 이(理)를 통찰함이 투철하지 못해서 천착하여 억지로 탐구하고, 마음 가지는 방법에 어두워 조급히 서두르는 데 있다. 정유일과 권호문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성학을 배우는 기본자세를 전반적으로 설명한다. 뜻을 세우고 학문하는 근본과 말단을 알며, 서로 도와 참을성 있게 공부하여 인(仁)과 지(智)를 추구하라는 것이다. 또한 ‘독서’, ‘마음을 붙잡아두고 기르며 공경하는 마음속에 머무름’, ‘잘잘못을 살피고 이치를 탐구함’ 등을 다루며, 얕은 지식을 쌓아 헛된 꿈에 사로잡혀 명성에 집착해서는 안 됨을 강조한다.
「자성록」 한 권만 연구해도 그 속에서 참으로 많은 철학적 사상과 학문적 교훈을 발견할 수 있다. 우선 거기에는 성학을 배우는 초학자들의 공통된 병을 고치는 처방, 학문하는 기본자세, 거경궁리의 방법, 세상을 속이고 명예를 훔치는 데 대한 준엄한 경계 등이 있으며, 이러한 내용들은 학자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는 가장 친절하고 신뢰할 만한 안내자가 된다. 또한 엄격하고도 부단한, 퇴계의 학문하는 정신과 고매한 인품, 깊은 사상이 내포되어 있다.
퇴계의 「언행록」을 후인들은 공자의 「논어」에 비유한 바 있거니와, 이러한 비유를 확대한다면 「자성록」이 「가어(家語)」와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간주해도 좋을 것이다.「퇴계 언행록」
퇴계는 그 언어와 행실에서 지극히 겸손하고 발라서 무릇 세인의 모범이 되었다. 그의 매화향처럼 깨끗하고 고결한 품격을 책으로 썼으니 그것이 바로 「퇴계 언행록」이다.
「퇴계 언행록」은 6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숙종 때 권두경(權斗經:1654∼1726)이 편찬ㆍ간행했는데, 나중에 중간된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간행연대는 알 수 없다. 저자는 본관이 안동(安東)으로 영남학파의 거두인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이다. 책머리에는 목록에 이어 차기제자목록(箚記諸子目錄)이 있다. 목록에 수록된 인물은 김성일ㆍ권호문ㆍ김부륜ㆍ정구ㆍ조목 등 거의 퇴계의 제자들이며, 이이ㆍ유희춘도 있다.
권1은 학문ㆍ공경ㆍ덕성을 말한다. 권2는 자질과 절도, 몸가짐을 말한다. 권3은 벼슬살이와 향리 생활을 말한다. 권4는 이(理)와 기(氣), 예(禮)를 말한다. 권5는 바른 학문 바른 인생을 말한다. 권6은 경(敬)ㆍ의(義)ㆍ지(知)ㆍ행(行)이 하나로 관통했던 일생에 대해 말한다.「성학십도」
‘성학’이란 곧 ‘유학’을 의미하고, 그 유학 중에도 특히 ‘성리학’을 일컫는다. 유학 또는 성리학을 굳이 성학이라 일컫는 까닭은 이 학문이 곧 ‘성인이 될 수 있는 방법을 갖춘 학문’임을 자부하는 데 있다. 그리고 특히 임금에 대하여는 ‘성왕이 될 수 있는 방법을 갖춘 학문’임을 강조하려는 데 있다.
「성학십도」는 퇴계 유학 사상의 진수를 빠짐없이 드러낸 가장 중요한 저작이다. 퇴계는 68세 때, 일생동안 쌓아올린 학문적 지식을 쏟아 마지막 봉공(奉公)의 정성을 다하여 임금께 「진성학십도차」를 올린다. 그런 만큼 「성학십도」는 퇴계의 가장 원숙한 말년의 사상의 전모가 일목요연하게 압축 요약되어 있는 것이요, 그의 심혈을 경주한 대표적인 명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은퇴한 퇴계가 국가에 바친 만년 충절의 일단이기도 하다.
제1도는 도와 도설 모두 주돈이의 저작이며, 제2도에서 서명은 장재의 글이고, 도는 정임은의 작품이다. 제4도에서 본문은 주자의 「대학경」 일장(章)이고, 도는 권근의 작품이다. 제5도에서 규약은 주자의 글이고 도는 이황의 작품이며, 제6도에서 상도(上圖) 및 도설은 정임은의 저작이고 도는 이황의 작품이다. 제7도는 도 및 도설이 모두 정임은의 저작, 제9도에서 잠은 주자의 말이고 도는 왕노재의 작품이며, 제10도에서 잠은 진남당의 말이고 도는 이황의 작품이다. 이들 유학사상의 정수들의 집약은 퇴계가 독창적으로 배치하여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됨으로써 생명 있는 전체적 체계를 형성하기에 이르렀다.「논사단칠정서」
「논사단칠정서」는 퇴계 철학의 진수가 담긴 서한집으로, 고봉 기대승과 ‘사단칠정’의 발현 문제를 둘러싸고 벌인 논쟁을 담은 퇴계의 대표적 걸작이다. 퇴계와 기대승의 14년에 걸친 철학적 논란은 성리학사상 한국 지성의 찬란한 금자탑이다.
사단은 측은지심(惻隱之心)ㆍ수오지심(羞惡之心)ㆍ사양지심(辭讓之心)ㆍ시비지심(是非之心)으로, 각각 인(仁)ㆍ의(義)ㆍ예(禮)ㆍ지(智)ㆍ심(心)의 착한 본성에서 발로되어 나오는 정감이다. 측은지심은 타인의 불행을 아파하는 마음, 수오지심은 악한 일을 수치스럽게 여기는 마음, 사양지심은 윗사람에게 양보하는 마음, 시비지심은 선악시비를 판별하는 마음이다. 칠정은 희(喜)ㆍ노(怒)ㆍ애(哀)ㆍ구(懼)ㆍ애(愛)ㆍ오(惡)ㆍ욕(欲)의 일곱 가지 감정으로서, 인간 심리의 숨김없는 현 실태를 총칭한 것이다.
퇴계는 사단은 이의 발이요, 칠정은 기의 발이다(四端理之發 七情氣之發)며 둘을 따로 떼어 생각하였는데, 그 주장에 기대승이 반론을 펼치며 논쟁이 시작된다. 이에 따라 퇴계는 자신의 이론을 몇 차례에 걸쳐 수정하여, 사단은 이가 발해서 기가 따르고, 칠정은 기가 발해서 이가 탄다(四端理發而氣隨之 七情氣發而理乘之)고 주장한다. 이렇게 시작된 사단칠정에 관한 논쟁은 성혼과 이이를 거쳐 한말에 이르기까지 한국 성리학 이론 논쟁의 중요 쟁점이 되었다. 또한 이러한 논구로 사단칠정론 중심의 한국 성리학의 심성론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향상되어 중국 성리학을 능가하게 되었다.퇴계의 격조 높은 시의 세계
퇴계의 도학에 대한 열성은 시작(詩作)으로 이어졌다. 그의 시들은 실천궁행하는 도학자로서의 삶이 생활 속에 얼마나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의 시에는 드높은 인품이 배어 있어 선비로서의 고고한 분위기가 그대로 드러난다.
퇴계는 자연을 음송하는 데 그치지 않고, 오히려 자연에 의지하여 우주의 심원한 이치를 드높은 운치로 읊고자 한다. 그러면서도 생활의 소회(所懷)를 느끼고 생각나는 대로 그리기를 게을리하지 않는다. 그래서 퇴계의 시는 그 자신의 도학으로 수양함으로써 우러나온 격조 높은 시정의 세계를 보여준다. 그는 때로는 도산(陶山)에서, 동암(東巖)의 바위 위에서, 아니면 병상에서 느끼는 갖가지 생각들을 담담하게 적어 내려가고 있다.
퇴계는 자연과 더불어 자연의 이치에 따라 살고자 했다. 그래서 유난히도 산수시를 많이 남겼다. 초야에 묻혀 살면서 세속의 찌든 때를 씻고자 했고, 그리하여 도학자로서의 기풍을 잃지 않고자 했던 것이다. 퇴계는 선비이자 대학자요 순수하고 깨끗한 기품을 지닌 시인이었다.
이 책에는 두고두고 새겨 읽을 만한 퇴계의 시 33편을 실어, 독자들이 선인의 탁월한 삶의 지혜를 깨우칠 수 있도록 했다.「무진육조소」의 퇴계 정치사상
「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는 총 7400자로 된 긴 소문이다. 이는 퇴계 이후 물러나는 대신이나 물러간 재야 유신들이 국왕에게 정책이나 의견을 개진하는 길을 가르쳐 준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왕통 승계의 법통을 중히 여겨서 어질게 효도를 다하여 모실 것. 둘째, 간사한 무리의 참언을 막고, 왕실의 자전과 본생 친가 부모 양궁(兩宮:생가와 양가인 왕가)을 친근하게 해서 사이를 좋게 유지할 것. 셋째, 제왕학(帝王學:임금이 갖추고 있어야 할 학문)을 공부하여 치국의 근본을 확립할 것. 넷째, 도덕과 학문을 밝히고 인심을 바르게 이끌 것. 다섯째, 임금의 속마음을 잘 알아차리는 인물을 골라서 귀와 눈이 바르게 보고 들을 수 있게 할 것. 여섯째, 지성스럽게 자신을 반성하고 수양을 거듭하며, 하늘의 사랑(하늘이 백성을 사랑하는 자애)을 받들 것.
무진육조소는 선조에게 사람으로서 누구나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자질과 전통적으로 가르쳐 온 성학(聖學:제왕학)을 정밀하고 쉽게 설명해서,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리는 법도를 가르친 것이다. 퇴계는 어디까지나 본연의 자세와 심성의 근본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정치를 해야 하는 요체와 방도를 설명했다. 이렇듯 퇴계는 학자든 임금이든 성학에 근본을 두어 그 전통을 지키며, 성현을 스승으로 삼고 인효와 인륜 도리를 다해야 한다고 아뢴 것이다.
퇴계의 소(疏)를 본 선조는 감격해서 다음과 같이 치하했다.
“경의 도덕은 옛 성현의 자질에서 우러나온 것이며, 그 윤리 또한 어질고 깨끗하오. 무릇 이 육조는 진실로 천고의 격언이오니 당장 지금이라도 시급히 힘쓸 것이오. 내 어찌 감히 가슴에 새겨서 지키지 않으리오.”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자성록 언행록 성학십도
저자 이황
출판사 동서문화사
ISBN 9788949704821 (894970482X)
쪽수 601
출간일 2008-07-07
사이즈 148 * 210 mm
목차 또는 책소개 머리글

자성록(自省錄)
진리 얻으매 깊이 음미해야
남시보(南時甫)에게 1
도리는 오로지 일상생활에서
남시보에게 2
예를 행함에 공손함을 다해야
정자중(鄭子中)에게 1
근본이 서면 도가 생긴다
정자중에게 2
이(理)는 만물 속에 있으므로
정자중에게 3
거울같이 맑고 물같이 고요하고
정자중에게 답함 4
기(氣)에는 삶과 죽음 있지만 이(理)에는 삶과 죽음이 없다
정자중에게 5
다만 경(敬)을 지켜 마음을 함부로 잃지 말며
정자중에게 6
나무는 고요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멈추어주지 아니하니
정자중에게 7
자기에게는 이롭게 남에게는 해롭게, 이것이 순과 도척의 구분되는 사유
정자중에게 8
어진 이는 산을 즐기고 지혜로운 이는 물을 즐기고
권호문(權好文)에게
마음의 기능은 생각하는 데에 있다
김돈서(金惇?)에게
이해가 눈앞에 있더라도 속박되지 않으면
이숙헌(李叔獻) 율곡(栗谷)에게
높은 곳을 오르려면 반드시 낮은 곳에서부터
황중거(黃仲擧)에게 답하여 《백록동규집해》를 논함
천하만물은 오로지 한 가지 이치만으로 되어
황중거에게 거듭 답함
마음의 영묘함을 이(理)와 기(氣)로 나누어 놓고
기정자 명언(奇正字 明彦)에게
곤륜이 대추를 통째로 삼킨다
기명언에게
하늘의 뜻이 그리 시키는 것
정자중과 기명언이 학문을 논함에 답함
자기를 속이고 남을 속이게 되는 것
기명언에게 주는 편지의 별지
얕으면 얕게, 깊으면 깊게 말해야
노이재(盧伊齋)에게
오래 사는 것 개의치 않고 덕을 닦아 죽음을 기다린다
기명언에게

언행록(言行錄)
언행록1 학문?공경?덕성을 말하다
묻고 배움
독서
격물치지를 논함
마음의 보존과 성찰
경(敬) 공부를 논함
덕을 이룸
사람을 가르침

언행록2 자질 절도 몸가짐을 말함
학문의 강론과 변별
자질과 품성
처소와 침묵의 절제
몸을 다스림
청빈한 생활
검약(儉約)
조상을 받드는 일
가훈(家訓)
시골생활
사양함과 받아들이기

언행록3 벼슬살이와 향리생활을 말함
사람들과의 사귐
음식과 의복의 절제
자연을 즐김
벼슬살이와 물러나기
임금을 섬김
임금께 삼가기를 아룀
나의 벼슬살이 자식들의 벼슬살이
자식들에게 벼슬살이를 가르침

언행록4 이(理)와 기(氣) 예(禮)를 말함
이(理)와 기(氣)를 논하다
관혼상제의 예를 논함
시사(時事)를 논함

언행록5 바른 학문, 바른 인생을 말함
인물을 논평하다
과거의 폐단을 논평함
바른 학문을 숭상함
그 밖의 여러 기록
경연 신하들이 아뢴 말씀
임종의 기록

언행록6 경(敬)?의(義)?지(知)?행(行)이 하나로 관통했던 일생
사실들을 기록함―김성일(金誠一)
언행을 모두 적음―정유일(鄭惟一)
세상에 남기신 일들―이이(李珥)
행장을 가려 적음―박순(朴淳)
사후 추존(追尊)을 위한 건의
교지문(敎旨文)
제문(祭文)

성학십도(聖學十圖)
성학십도
성학십도를 올리는 글
《성학십도》 원문 해설
1. 태극도설(太極圖說)
2. 서명(西銘)
3. 소학제사(小學題辭)
4. 대학경(大學經)
5. 동규후서(洞規後敍)
6. 심통성정도설(心統性情圖說)
7. 인설(仁說)
8. 심학도설(心學圖說)
9. 경재잠(敬齋箴)
10.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논사단칠정서(論四端七情書)
1. 기명언에게 드림―기미(己未)
2. 사단칠정을 이와 기로 나누어 말할 수 없다는 기명언의 변증을 첨부함
3. 기명언에게 답함―사단칠정을 논한 두 번째 글
4. 기명언에게 답함―사단 칠정을 논하는 세 번째 글
5. 기명언에게 답함
6. 기명언에게 거듭 답함
7. 기명언의 ‘사단 칠정 후설’을 덧붙임
8. 기명언의 ‘사단 칠정 총론’을 덧붙임

시(詩)
1. 길선생 마을을 지나며
2. 월영대(月影臺)
3. 촉석루(矗石樓)
4. 영남루(嶺南樓)
5. 봄에
6. 복사꽃 아래에서
7. 봄날 냇가에
8. 압록강 천연해수
9. 위화도(威化島)
10. 청평산(淸平山)을 지나며
11. 도산 달밤의 매화
12. 망호당의 매화를 찾아
13. 도수매(倒垂梅)
14. 호당(湖堂)의 매화 늦봄에 피어나다
15. 고산(孤山)
16. 퇴계 초가에서 황금계(黃錦溪) 찾아옴을 기뻐하며
17. 초가를 계서(溪西)로 옮기고 한서암(寒棲庵)이라 이름짓다
18. 이선생이 한서암에 오시다
19. 퇴계
20. 한서(寒棲)
21. 가재
22. 맑은 연꽃 향기
23. 배 안에서
24. 도연명의 음주에 화창함
25. 이포(梨浦)를 지나며
26. 어부
27. 반궁(泮宮)
28. 서당에서 김응림(金應霖) 추회(秋懷)에 합창함
29. 소나무를 읊는다
30. 모춘우작(暮春偶作)
31. 세모에 고향 편지 받아들고 감회를
32. 저물녘 거닐며
33. 눈 속의 대나무

소(疏)
한낮의 태백성은 병란의 징조(甲辰乞勿絶倭使疏)
무엇을 의(義)라 하겠습니까(戊午辭職疏)
천도(天道)는 가까이에 있다(戊辰六條疏)

경연일기(經筵日記)
건괘상구강의(乾卦上九講義)
서명고증강의(西銘考證講義)

퇴계 이황의 생애와 사상
퇴계 이황의 생애와 사상
이황 연보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상품페이지 참고
저자 상품페이지 참고
출판사 상품페이지 참고
크기 상품페이지 참고
쪽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상품페이지 참고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배송공지

사용후기

회원리뷰 총 0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 총 0개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방법]
마이페이지> 주문배송조회 > 반품/교환신청 또는 고객센터 (070-4680-5689)로 문의 바랍니다.

[반품주소]
- 도로명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로 62-20 (산남동)
- 지번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305-21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14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단순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양서-판매정가의 12%, ②일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자성록 언행록 성학십도
    자성록 언행록 성학
    16,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