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 북윈도
리뷰 0 위시 120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요약정보 및 구매

유희경 시집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저자 유희경
ISBN 9788932030920 (8932030928)
정가 9,000원
판매가 8,100원(10% 할인)
배송비 2,500원 (12,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 일부 도서 제외)
포인트 정책 설명문 닫기

00포인트

포인트 정책 설명문 출력

선택된 옵션

관심상품

상품 정보

사은품
상품 기본설명
유희경 시집
상품 상세설명
설명할 수 없는 상실감과 관계의 불능성을 있는 그대로 끌어안다!

《오늘 아침 단어》, 《당신의 자리》 이후 쓰고 고친 66편의 시가 오롯이 담긴 유희경 시인의 시집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우리가 놓쳐버리기 십상인 세계의 일면들을 저자 고유의 감각으로 섬세하게 풀어낸 시편들을 만나볼 수 있다. 이전 시집에서 탄생과 죽음의 시간을 넘나들며 형용 불가능한 감정을 정제해 보였던 저자는 이번 시집에서 그 불가능성을 고스란히 수용한다. 시집은 모두 3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의 첫 시 제목은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Ⅰ,Ⅱ),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것들’(Ⅲ)로, 이 중에서 시집 제목이자 맨 앞에 놓인 시편을 살펴봄으로써 '신'의 정체를 가늠해볼 수 있다. 우리가 분명하게 느꼈으나 곱씹어보지 않았을 뿐인 감정에 관한, 보이진 않지만 명백히 존재하는 가능성의 세계에 관한 탐구, 일상적인 풍경에서 길어 올린 새로운 가능성과 그 장면들에 깃든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목차
시인의 말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좋은 것 커다란 것 잊고 있던 어떤 것/봄밤, 참담/脫喪/합정동/지난날의 우주와 사다리와/사월/빈집/사월/조금 더 따뜻한 쪽으로/옷을 갈아입는 시간/사랑/얼룩/잠든 사이/새장/섬/조항/질문/어깨가 넓은 사람/무사/농담/가벼운 돌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폭우/主人/한낮/지옥/작은 일들/시를 읽는 시간/단어/음악을 가둔 방/MILK/안과 밖/여름 팔월/늦고 흔한 오후/장마/놀라운 지시/너의 사물/나의 처음에/어떤 날들이 찾아왔나요/붉고 흐리고 빠른/가벼운 풍경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것들/겹겹, 겹겹의/작가/긴 밤/아무 일도/남아 있다/축복/상자/볕이 많은 골목/한겨울/그늘/잊어버린 이야기/직선의 소리/社員/새처럼 용수철처럼 일요일처럼/생활/벌목/공포/마음/內裏/到着/소식/아침/봄

해설
잠시 당신이 있던 풍경이 말해주는 것 ㆍ 김나영
출판사 서평
세계의 일면을 적확하게 포착한 시어
“나는 말한다, 당신이 있다”유희경의 새로운 시집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문학과지성사, 2018)이 출간되었다. 『오늘 아침 단어』(문학과지성사, 2011), 『당신의 자리ㅡ나무로 자라는 방법』(아침달, 2017) 이후 쓰고 고친 66편의 시가 오롯이 담겼다. 이전 시집에서 탄생과 죽음의 시간을 넘나들며 형용 불가능한 감정을 정제해 보였던 유희경은 이번 시집에서 그 불가능성을 고스란히 수용한다. 설명할 수 없는 상실감과 관계의 불능성을 있는 그대로 끌어안는 것이다. 시인은 한순간 분명하게 나타나 감미로운 전율을 주지만, 그다음에는 언제 그랬냐는 듯 허무하게 사라져버리고 마는 감각적 체험을 예민하게 포착, 적확하게 묘사해낸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은 우리가 놓쳐버리기 십상인 세계의 일면들을 시인 고유의 감각으로 섬세하게 풀어낸 결과이다.
일상적인 풍경에서 길어 올린 새로운 가능성과 그 장면들에 깃든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기회를 제공한다.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는 존재의 의미『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은 3부로 구성된다. 각 부의 첫 시 제목은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Ⅰ,Ⅱ),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것들”(Ⅲ)이다. 이 중에서 시집 제목이자 맨 앞에 놓인 시편을 살펴봄으로써 '신'의 정체를 가늠해볼 수 있다. 여기서 신은 '당신'이라는 이인칭으로 호명된다. 어떤 인칭이 나타날 때 그 순간을 어둠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그 어둠을 모래에 비유할 수 있다면 어떤 인칭은 눈빛부터 얼굴 손 무릎의 순서로 작은 것이 무너져 내리는 소리를 내며 드러나 내 앞에 서는 것인데 [……] 인칭이 성별과 이름을 갖게 될 때에 나는 또 어둠이 어떻게 얼마나 밀려났는지를 계산해보며 그들이 내는 소리를 그 인칭의 무게로 생각한다 당신이 드러나고 있다 나는 당신을 듣는다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부분시인은 “어떤 인칭이 나타날 때 그 순간”을 “어둠”이라고 명명한다. 빛이 부재하는 순간, 즉 가시적인 판단이 불가능한 순간에만 대상이 나타난다고 여기는 것이다. 이렇듯 유희경에게 당신은 부재라는 방식으로만 존재하는 역설적 대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존재는 인칭으로 국한되지 않는다.당신이 궁금하다
창틀의 형식을 데리고 온
당신의 이름을 묻는다
혹시, 이름을 벗었는가
그게 처음이었는가
[……]
당신이 젖었는지 웃었는지
그런 질문은 쓸모가 없다
당신은 생겨나는 물건이다
―「질문」 부분이름을 벗은 당신은 호명 가능한 대상을 넘어선다. 나의 질문과 무관하게 생겨나는 당신은 (당)신으로 확장된다.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는 존재로서 (당)신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시인은 대상의 비가시성과 불분명성으로 인해 슬픔에 잠기지 않는다. 이 '나타나지도 사라지지도 않는' 대상이 바로 시적 발화를 가능케 하는 결핍이자, 결코 메워지지 않는 세계의 균열점이기 때문이다. “나는 이것을 당신에게 건넨다 이것이 그것으로 되길 바란다”(「가벼운 돌」). 유희경은 무구하며 무한한 마음으로 (당)신을 향한 시를 쓴다. 모름과 앎의 경계에서유희경의 시는 대부분 일인칭 화자의 독백 형식을 띤다. 발견되는 화자의 특징으로는 '알 수 없음'을 꼽을 수 있다. 다수의 시편에서 시인은 “아무것도 모르겠어 이제”(「지난날의 우주와 사다리와」), “그건 사실이 아닐지도 모르지”(「단어」), “어디가 아프냐고요? 모르겠습니다 나는 모르고 있어요”(「생활」)라고 쓴다. 처한 상황은 저마다 다르지만 이들은 자신을 둘러싼 상황에 대해 어떤 것도 확신할 수 없음을 고백한다. 이렇듯 시인은 머뭇거리는 방식으로, 즉 자신의 이야기에서 거듭 자신을 지우는 방식으로 발화한다. 요컨대 유희경의 시는 '모름에 대한 앎의 기록'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아이에 대해 쓰는 시는 앞을 보지 못한다 우묵한 저물녘 아이가 길을 배워가는 그런 시를 나는 쓰고 있다 [……] 그것이 나를 불안하게 만든다라고 적은 문장은 지우기로 하지만 여전히 나는 조마조마하다 [……] 그들이 돌아오는 길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적지 않기로 한다 나는 그것을 보지 못하였다
―「무사」 부분모름에 대한 앎은 (당)신의 존재를 떠올리게 한다. 시인이 품는 불확실에 관한 확신은 맹목의 순간에만 가시성을 띠는 (당)신에 대한 인식과도 상통하기 때문이다. 유희경은 이 알 수 없음으로부터 끊임없이 새로운 순간들을 발굴하고, 그에 맞는 언어를 찾기 위해 고투한다. 끝내 도달할 수 없겠지만 그 불가능성을 향해 부단한 열망으로 시를 쓴다.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은 바로 그러한 시인의 마음을 섬세하게 풀어쓴 기록이다. 우리가 분명하게 느꼈으나 곱씹어보지 않았을 뿐인 감정에 관한, 보이진 않지만 명백히 존재하는 가능성의 세계에 관한 탐구이다. [뒤표지 글]알고 있었니 하고 물으면
누가 그러면,
몰랐다 대답하고 싶어진다.
그러고 나면
요란하게 닫힌 문의 안쪽처럼
정말 모르는 일이 되는 세계
모르는 세계의 힘없는 규범지금 나는
뒤늦게 알아버린 사람처럼
후회를 뒤적거리는 중이다.
실은 몰랐으면서.
아무것도 몰랐으면서.
몰랐다고 대답하고 싶어 하면서.오늘은 천사 같은 아이들에게
장난감을 한 개만 사 주었다.
싸우지 말고 사이좋게 지내라고.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오늘 정오의 일이다.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저자 유희경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ISBN 9788932030920 (8932030928)
쪽수 134
출간일 2018-04-06
사이즈 129 * 206 * 9 mm /205g
목차 또는 책소개 시인의 말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좋은 것 커다란 것 잊고 있던 어떤 것/봄밤, 참담/脫喪/합정동/지난날의 우주와 사다리와/사월/빈집/사월/조금 더 따뜻한 쪽으로/옷을 갈아입는 시간/사랑/얼룩/잠든 사이/새장/섬/조항/질문/어깨가 넓은 사람/무사/농담/가벼운 돌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폭우/主人/한낮/지옥/작은 일들/시를 읽는 시간/단어/음악을 가둔 방/MILK/안과 밖/여름 팔월/늦고 흔한 오후/장마/놀라운 지시/너의 사물/나의 처음에/어떤 날들이 찾아왔나요/붉고 흐리고 빠른/가벼운 풍경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것들/겹겹, 겹겹의/작가/긴 밤/아무 일도/남아 있다/축복/상자/볕이 많은 골목/한겨울/그늘/잊어버린 이야기/직선의 소리/社員/새처럼 용수철처럼 일요일처럼/생활/벌목/공포/마음/內裏/到着/소식/아침/봄

해설
잠시 당신이 있던 풍경이 말해주는 것 ㆍ 김나영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상품페이지 참고
저자 상품페이지 참고
출판사 상품페이지 참고
크기 상품페이지 참고
쪽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상품페이지 참고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배송공지

사용후기

회원리뷰 총 0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 총 0개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방법]
마이페이지> 주문배송조회 > 반품/교환신청 또는 고객센터 (070-4680-5689)로 문의 바랍니다.

[반품주소]
- 도로명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로 62-20 (산남동)
- 지번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305-21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14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단순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양서-판매정가의 12%, ②일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우리에게 잠시 신이
    8,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