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상들 : 북윈도
리뷰 0 위시 120

초상들 요약정보 및 구매

존 버거의 예술가론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열화당
저자 존버거 , 톰 오버턴(엮음)
ISBN 9788930106382 (8930106382)
정가 39,000원
판매가 35,100원(10% 할인)
배송비 무료배송
포인트 정책 설명문 닫기

00포인트

포인트 정책 설명문 출력

선택된 옵션

관심상품

상품 정보

사은품
상품 기본설명
존 버거의 예술가론
상품 상세설명


(John Berger, 1926-2017)는 미술비평가, 사진이론가, 소설가, 다큐멘터리 작가, 사회비평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처음 미술평론으로 시작해 점차 관심과 활동 영역을 넓혀 예술과 인문, 사회 전반에 걸쳐 깊고 명쾌한 관점을 제시했다. 중년 이후 프랑스 동부의 알프스 산록에 위치한 시골 농촌 마을로 옮겨가 살면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농사일과 글쓰기를 함께했다. 저서로 『피카소의 성공과 실패』 『예술과 혁명』 『다른 방식으로 보기』 『본다는 것의 의미』 『말하기의 다른 방법』 『센스 오브 사이트』 『그리고 사진처럼 덧없는 우리들의 얼굴, 내 가슴』 『존 버거의 글로 쓴 사진』 『모든것을 소중히하라』 『백내장』 『벤투의 스케치북』 『아내의 빈 방』 『사진의 이해』 『스모크』 『우리가 아는 모든 언어』 『풍경들』 등이 있고, 소설로 『우리 시대의 화가』 『여기, 우리가 만나는 곳』 『G』 『A가 X에게』 『킹』, 삼부작 ‘그들의 노동에’ 『끈질긴 땅』 『한때 유로파에서』 『라일락과 깃발』이 있다.

목차
책머리에 존 버거
엮은이의 말 과거와의 동행 톰 오버턴

1. 쇼베 동굴벽화 화가들(The Chauvet Cave Painters, 기원전 30,000년경)
2. 파이윰 초상화 화가들(The Fayum Portrait Painters, 1세기-3세기)
3.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Piero della Francesca, c. 1415-1492)
4. 안토넬로 다 메시나(Antonello da Messina, c. 1430-1479)
5. 안드레아 만테냐(Andrea Mantegna, 1430/1-1506)
6. 히에로니무스 보스(Hieronymus Bosch, c. 1450-1516)
7. 대 피터르 브뤼헐(Pieter Bruegel the Elder, c. 1525-1569)
8. 조반니 벨리니(Giovanni Bellini, 1459년경에 활동, 1516년 사망)
9. 마티아스 그뤼네발트(Matthias Gr newald, c. 1470-1528)
10.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 rer, 1471-1528)
11. 미켈란젤로(Michelangelo, 1475-1564)
12. 티치아노(Titian, 1490 -1576)
13. 한스 홀바인 2세(Hans Holbein the Younger, 1497/8-1543)
14. 카라바조(Caravaggio, 1571-1610)
15. 프란스 할스(Frans Hals, 1581 -1666)
16. 디에고 벨라스케스(Diego Vel zquez, 1599-1660)
17. 렘브란트(Rembrandt, 1606-1669)
18. 빌럼 드로스트(Willem Drost, 1633-1659)
19. 장 앙투안 바토(Jean-Antoine Watteau, 1684-1721)
20. 프란시스코 데 고야(Francisco de Goya, 1746-1828)
21. 오노레 도미에(Honor Daumier, 1808-1879)
22. 터너(J. M. W. Turner, 1775-1851)
23. 장 루이 앙드레 테오도르 제리코(Jean-Louis-Andr -Th odore G ricault, 1791-1824)
24. 장 프랑수아 밀레(Jean-Fran ois Millet, 1814-1875)
25. 귀스타브 쿠르베(Gustave Courbet, 1819-1877)
26. 에드가 드가(Edgar Degas, 1834-1917)
27. 페르디낭 ‘우체부’ 슈발(Ferdinand ‘Le Facteur’ Cheval, 1836-1924)
28. 폴 세잔(Paul C zanne, 1839-1906)
29. 클로드 모네(Claude Monet, 1840-1926)
30.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1853-1890)
31. 케테 콜비츠(K the Kollwitz, 1867-1945)
32.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 1869-1954)
33.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1881-1973)
34. 페르낭 레제(Fernand L ger, 1881-1955)
35. 오시 자킨(Ossip Zadkine, 1890-1967)
36. 헨리 무어(Henry Moore, 1898-1986)
37. 피터 라슬로 페리(Peter Lazslo Peri, 1899-1967)
38. 알베르토 자코메티(Alberto Giacometti, 1901-1966)
39. 마크 로스코(Mark Rothko, 1903-1970)
40. 로버트 메들리(Robert Medley, 1905-1994)
41. 프리다 칼로(Frida Kahlo, 1907-1954)
42.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
43. 레나토 구투소(Renato Guttuso, 1911-1987)
44. 잭슨 폴록(Jackson Pollock, 1912-1956)
45. 잭슨 폴록과 리 크래스너(Lee Krasner, 1908-1984)
46. 아비딘 디노(Abidin Dino, 1913-1993)
47. 니콜라 드 스탈(Nicolas de Sta l, 1914-1955)
48. 프루넬라 클라우(Prunella Clough, 1919-1999)
49. 스벤 블롬베리(Sven Blomberg, 1920-2003)
50. 프리소 텐 홀트(Friso Ten Holt, 1921-1997)
51. 피터 드 프랑시아(Peter de Francia, 1921-2012)
52. 프란시스 뉴튼 수자(Francis Newton Souza, 1924-2002)
53. 이본 발로(Yvonne Barlow, 1924-2017)
54. 에른스트 네이즈베스트니(Ernst Neizvestny, 1925-2016)
55. 리언 코소프(Leon Kossoff, 1926- )
56. 앤서니 프라이(Anthony Fry, 1927-2017)
57. 사이 트웜블리(Cy Twombly, 1928-2011)
58. 프랑크 아우어바흐(Frank Auerbach, 1931- )
59. 비야 셀민스(Vija Celmins, 1938- )
60. 마이클 콴(Michael Quanne, 1941- )
61. 매기 햄블링(Maggi Hambling, 1945- )
62. 리안 번버그(Liane Birnberg, 1948- )
63. 피터 케나드(Peter Kennard, 1949- )
64. 안드레스 세라노(Andres Serrano, 1950- )
65. 후안 무뇨스(Juan Mu oz, 1953-2001)
66. 로스티아 쿠노프스키(Rostia Kunovsky, 1954- )
67. 하우메 플렌사(Jaume Plensa, 1955- )
68. 크리스티나 이글레시아스(Cristina Iglesias, 1956- )
69. 마틴 노엘(Martin Noel, 1956-2008)
70. 장 미셸 바스키아(Jean-Michel Basquiat, 1960-1988)
71. 마리사 카미노(Marisa Camino, 1962- )
72. 크리스토프 핸슬리(Christoph H nsli, 1963- )
73. 마이클 브라우턴(Michael Broughton, 1977- )
74. 란다 마다(Randa Mdah, 1983- )

수록문 출처
출판사 서평
엉덩이에 낀 물건 같은 미술평론가?
예술과 사회 전반에 걸쳐 깊고 넓은 글쓰기를 해 온 존 버거(John Berger, 1926-2017)의 시작은 미술평론이었다. 그러나 그는 미술평론가라는 호칭을 꽤 불편해했다. 얕은 지식으로 대상을 판단하며 시종일관 거드름을 피우는 사람, ‘엉덩이에 낀 물건처럼 거추장스러운’ 존재였다. 이는 작품을 감상하는 특별한 방식이 있는 것처럼 단정하는 그들의 감상법을 향한 반감이기도 했다. 기존의 미술사 담론을 전복하는 급진적 시각을 보여 줌으로써 방송 당시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킨 1972년 텔레비전 프로그램 「다른 방식으로 보기(Ways of Seeing)」의 등장은 어쩌면 예견된 것이었다. 그리고 이 태도는 그가 죽는 날까지 변함없이 이어졌다.
존 버거가 아직 생존해 있던 2015년 출간된 『초상들』은 그가 1952년부터 2013년까지 여러 매체와 책에 쓴 예술가들에 대한 글을 모은 선집으로, 양식사 중심의 형식주의적 미술사학의 틀에서 벗어난 ‘다른 방식으로 보는 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이 책은 베벌리 버거(Beverly Berger)가 남편 존 버거의 원고를 정리해 2009년 대영도서관에 기증한 것이 기초가 되었다. 헨리 무어 연구소와 런던 킹스대학의 생애사(Life-Writing) 연구센터의 연구원 톰 오버턴(Tom Overton)이 2010년에서 2013년까지 이 아카이브〔베벌리의 별명을 따 ‘동고비 아카이브(Nuthatch Archive)’라 불린다〕를 읽고 분류했고, 그 결과 예술가론을 모은 『초상들(Portraits)』(2015)과 예술론을 엮은 『풍경들(Landscapes)』(2016, 한국어판은 2019년 여름 출간 예정)이 차례로 출간될 수 있었다. 여기 실린 글들은 처음부터 이런 형태로 묶일 것을 염두에 두고 씌어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각각은 어느 정도의 전환과 변화를 겪으며 책 안에서 나름의 유기적 구성을 이룬다. 구조적인 면에서 보자면 ‘존 버거식 미술사’란 제목을 단 ‘존 버거의 회고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이야기꾼이 들려주는 미술의 역사
프랑스 쇼베 동굴(Chauvet Cave)의 선사시대 벽화부터 낙서를 미술작품으로 발전시킨 미국의 추상주의 화가 사이 톰블리(Cy Twombly)의 급진적 작품까지 예술가와 역사를 혁신적으로 연결하는 존 버거의 방법은 바로 ‘이야기하기’이다. 구전의 형식인 ‘이야기’와 글쓰기를 나란히 놓는다는 게 일견 역설적이지만, 희곡, 시, 소설, 라디오 대본, 시나리오, 에세이 그리고 장르를 분류하기 어려운 공동 작업 등, 그의 작업이 지닌 폭을 생각했을 때 ‘이야기’는 이 모든 것을 포괄할 수 있는 단어다. 또한 그는 스스로 작가가 아닌 ‘이야기꾼(storyteller)’이라고 불렀고 그렇게 불리길 원했다.
『초상들』에는 전시회에 대한 일반적인 평론뿐만 아니라 조각가 후안 무뇨스(Juan Mu?oz)의 사망을 애도하기 위해 오래전에 사망한 터키 시인 나짐 히크메트(Nazim Hikmet)에게 쓰는 편지나 안드레아 만테냐(Andrea Mantegna)의 그림을 보며 딸 카트야 버거와 나눈 대화가 등장한다. 내셔널갤러리에 가서 안토넬로 다 메시나(Antonello da Messina)의 그림을 그리려다 퇴짜를 맞는 그의 일상이 콩트처럼 펼쳐지고 에드가 드가의 그림이 시로 재해석되고 프란시스코 데 고야가 희곡의 주인공으로 되살아난다. 「다른 방식으로 보기」에서 존 버거가 시청자들에게 직접 말을 걸었던 것처럼 그는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에게 말을 걸며 예술가의 삶과 작품, 그리고 시대에 대한 초상들을 그려 나간다. 과거와의 공존, 죽은 자와의 동행
“(기록보관소란) 과거에 살았던 이들, 어쩌면 지금도 살아 있는, 또 어쩌면 이제는 죽어 버린 이들이 현존하는 또 다른 방식입니다. 제게는 바로 그 점이 인간들이 처한 조건의 핵심적 특징인 것 같습니다. 사실 바로 그 점이 인간과 다른 동물들을 구분해 주는 것이겠지요. 앞서 살았던 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것, 이제 더 이상 살아 있지 않은 이들과의 공존 말입니다. 개인적으로 알고 지내던 이들과의 공존만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들의 업적, 그들이 남긴 것을 통해서만 알고 있는 누군가와의 공존입니다.” 2009년 존 버거가 자신의 초고를 대영도서관에 기증한 후 했던 위의 인터뷰에서 보이듯이, 산 자와 죽은 자와의 살아 있는 관계야말로 존 버거가 이야기꾼으로서의 소명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점이었다. 자본주의란 개인을 역사로부터 단절시킴으로써 작동하는 것이라고 인식하며 거리를 두었던 존 버거는 환상과 현실이 결합된 ‘마술적 리얼리즘’에 관심이 많았다. 이는 그의 전작에서도 두드러지는데 『여기, 우리가 만나는 곳』에서 주인공 존은 죽은 자들과 이야기를 한다. 돌아가신 부모님과 옛 스승, 친구와 애인, 그리고 이름 모를 선사시대 예술가까지, 그들은 과거에 존과 함께 경험했던 일들을 추억하고, 존이 알지 못했던 것들을 일깨워주기도 한다. 『벤투의 스케치북』에서는 마르크스가 가장 좋아했던 철학자 스피노자의 스케치북을 발견하는 상상에서 시작한다.
『초상들』에서 그는 이미 세상에 없는 예술가들을 현실로 끊임없이 소환한다. 존 버거는 예술가와 그들의 작품을 면밀한 감정이입을 통해 하나의 이야기로 확장해 나가며 3세기에 그려진 파이윰 초상화에서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동시대의 인물상을 발견하도록 한다. 파이윰 초상화의 침묵은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지만, 자신들이 살아 있음을 말하는, 그리고 자신들을 바라보고 있는 이도 살아 있음을 말한다. 미약하지만 자존감을 보여 주는 그들의 표정을 우리는 버스에서, 학교에서, 회사에서 목격하게 된다. 과거의 유산에서 현재를 발견하는 순간 우리는 그들과 공존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문학적 풍경에 드리워진 긴 그림자
이 책은 다양한 역사적 시기에 활동한 74명의 예술가 이야기들이 연대기순으로 엮여 있다. 그는 파이윰 초상화를 그린 익명의 화가든 렘브란트와 같은 거장이든 상관없이 밀도있는 집중력과 상상력을 동원한다. 대단한 명성이나 찬사는 없지만 어떻게든 살아남아서 자신들만의 역작을 만들어내려 했던 모든 시대의 화가들에 대해 들려준다. ‘이야기꾼이란 자신의 정체성은 잊어버리고 다른 사람들의 삶에 열려 있는 사람들’이라고 스스로 정의했듯이 존 버거는 주저하지 않고 그들에게로 성큼 다가간다. 그가 만난 정치적 이민자, 법의 테두리 밖에 존재하는 불특정 다수의 남녀 예술가들은 어떤 명문학교에서도 배울 수 없는 많은 것들을 그에게 가르쳐 주었다.
리베카 솔닛(Rebecca Solnit)의 표현처럼 존 버거는 ‘문학적 풍경에 긴 그림자(a long shadow across the literary landscape)’를 드리우고 우리를 불러들인다. 많은 이들은 그곳에서 쉬거나 열정적으로 정치를 논하거나 예술과 일상의 차이를 깨닫고 관심을 갖기도 한다. 그러다 자유롭게 생각을 풀어놓을 수 있는 영토를 스스로 개척하기에 이른다. 그때 마주하게 되는 대상은 역사의 재발견과 재구성 과정을 거쳐, 우리가 어떻게 다시 생각하고 느끼고 응시해야 할지 질문을 던진다. 존 버거의 글쓰기 특징 중 하나도 바로 재고(再考) 혹은 재고의 필요성이었던 것처럼 말이다.글쓰기 지평의 확장
존 버거는 언제나 명료하고 총론적으로 접근하는 글을 써 왔고, 장르를 넘나들며 끊임없이 다시 생각하고 열려 있는 자세를 견지했다. 이는 두 선집의 제목 ‘초상들’과 ‘풍경들’에서도 상징적으로 드러난다. ‘초상들’이란 말은 이제 ‘한 인물을 한 장소에서 하나의 시점으로 보고 기록한 모습이 그 인물의 정체성을 정확하게 보여 줄 수 없게’ 되었음을 암시한다. ‘풍경들’ 역시 그 단어가 지닌 자유로운 의미에 기대어 버거의 예술에 대한 글쓰기의 지평이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지 보여 준다. 두 책은 미술을 향한 존 버거의 응답의 폭을 가능한 넓게 제시함으로써, 제프 다이어(Geoff Dyer)의 표현대로, 우리에게 미술을 평가하는 ‘지도를 다시 그려 보기’를 권하고 있다.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초상들
저자 존버거 , 톰 오버턴(엮음)
출판사 열화당
ISBN 9788930106382 (8930106382)
쪽수 672
출간일 2019-04-06
사이즈 140 * 220 * 47 mm /938g
목차 또는 책소개 책머리에 존 버거
엮은이의 말 과거와의 동행 톰 오버턴

1. 쇼베 동굴벽화 화가들(The Chauvet Cave Painters, 기원전 30,000년경)
2. 파이윰 초상화 화가들(The Fayum Portrait Painters, 1세기-3세기)
3.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Piero della Francesca, c. 1415-1492)
4. 안토넬로 다 메시나(Antonello da Messina, c. 1430-1479)
5. 안드레아 만테냐(Andrea Mantegna, 1430/1-1506)
6. 히에로니무스 보스(Hieronymus Bosch, c. 1450-1516)
7. 대 피터르 브뤼헐(Pieter Bruegel the Elder, c. 1525-1569)
8. 조반니 벨리니(Giovanni Bellini, 1459년경에 활동, 1516년 사망)
9. 마티아스 그뤼네발트(Matthias Gr newald, c. 1470-1528)
10.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 rer, 1471-1528)
11. 미켈란젤로(Michelangelo, 1475-1564)
12. 티치아노(Titian, 1490 -1576)
13. 한스 홀바인 2세(Hans Holbein the Younger, 1497/8-1543)
14. 카라바조(Caravaggio, 1571-1610)
15. 프란스 할스(Frans Hals, 1581 -1666)
16. 디에고 벨라스케스(Diego Vel zquez, 1599-1660)
17. 렘브란트(Rembrandt, 1606-1669)
18. 빌럼 드로스트(Willem Drost, 1633-1659)
19. 장 앙투안 바토(Jean-Antoine Watteau, 1684-1721)
20. 프란시스코 데 고야(Francisco de Goya, 1746-1828)
21. 오노레 도미에(Honor Daumier, 1808-1879)
22. 터너(J. M. W. Turner, 1775-1851)
23. 장 루이 앙드레 테오도르 제리코(Jean-Louis-Andr -Th odore G ricault, 1791-1824)
24. 장 프랑수아 밀레(Jean-Fran ois Millet, 1814-1875)
25. 귀스타브 쿠르베(Gustave Courbet, 1819-1877)
26. 에드가 드가(Edgar Degas, 1834-1917)
27. 페르디낭 ‘우체부’ 슈발(Ferdinand ‘Le Facteur’ Cheval, 1836-1924)
28. 폴 세잔(Paul C zanne, 1839-1906)
29. 클로드 모네(Claude Monet, 1840-1926)
30.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1853-1890)
31. 케테 콜비츠(K the Kollwitz, 1867-1945)
32.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 1869-1954)
33.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1881-1973)
34. 페르낭 레제(Fernand L ger, 1881-1955)
35. 오시 자킨(Ossip Zadkine, 1890-1967)
36. 헨리 무어(Henry Moore, 1898-1986)
37. 피터 라슬로 페리(Peter Lazslo Peri, 1899-1967)
38. 알베르토 자코메티(Alberto Giacometti, 1901-1966)
39. 마크 로스코(Mark Rothko, 1903-1970)
40. 로버트 메들리(Robert Medley, 1905-1994)
41. 프리다 칼로(Frida Kahlo, 1907-1954)
42.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
43. 레나토 구투소(Renato Guttuso, 1911-1987)
44. 잭슨 폴록(Jackson Pollock, 1912-1956)
45. 잭슨 폴록과 리 크래스너(Lee Krasner, 1908-1984)
46. 아비딘 디노(Abidin Dino, 1913-1993)
47. 니콜라 드 스탈(Nicolas de Sta l, 1914-1955)
48. 프루넬라 클라우(Prunella Clough, 1919-1999)
49. 스벤 블롬베리(Sven Blomberg, 1920-2003)
50. 프리소 텐 홀트(Friso Ten Holt, 1921-1997)
51. 피터 드 프랑시아(Peter de Francia, 1921-2012)
52. 프란시스 뉴튼 수자(Francis Newton Souza, 1924-2002)
53. 이본 발로(Yvonne Barlow, 1924-2017)
54. 에른스트 네이즈베스트니(Ernst Neizvestny, 1925-2016)
55. 리언 코소프(Leon Kossoff, 1926- )
56. 앤서니 프라이(Anthony Fry, 1927-2017)
57. 사이 트웜블리(Cy Twombly, 1928-2011)
58. 프랑크 아우어바흐(Frank Auerbach, 1931- )
59. 비야 셀민스(Vija Celmins, 1938- )
60. 마이클 콴(Michael Quanne, 1941- )
61. 매기 햄블링(Maggi Hambling, 1945- )
62. 리안 번버그(Liane Birnberg, 1948- )
63. 피터 케나드(Peter Kennard, 1949- )
64. 안드레스 세라노(Andres Serrano, 1950- )
65. 후안 무뇨스(Juan Mu oz, 1953-2001)
66. 로스티아 쿠노프스키(Rostia Kunovsky, 1954- )
67. 하우메 플렌사(Jaume Plensa, 1955- )
68. 크리스티나 이글레시아스(Cristina Iglesias, 1956- )
69. 마틴 노엘(Martin Noel, 1956-2008)
70. 장 미셸 바스키아(Jean-Michel Basquiat, 1960-1988)
71. 마리사 카미노(Marisa Camino, 1962- )
72. 크리스토프 핸슬리(Christoph H nsli, 1963- )
73. 마이클 브라우턴(Michael Broughton, 1977- )
74. 란다 마다(Randa Mdah, 1983- )

수록문 출처
배송공지

사용후기

회원리뷰 총 0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 총 0개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방법]
마이페이지> 주문배송조회 > 반품/교환신청 또는 고객센터 (070-4680-5689)로 문의 바랍니다.

[반품주소]
- 도로명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로 62-20 (산남동)
- 지번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305-21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14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단순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양서-판매정가의 12%, ②일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초상들
    초상들
    35,100